광주 붕괴사고 이틀째 합동 현장감식…붕괴원인 책임자 규명

입력 2022-02-10 11:19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를 불러온 구체적 원인과 책임자 규명을 위한 경찰과 국과수 등 관계기관 합동 현장 감식이 10일 이틀째 이어졌다.

광주경찰청 수사본부는 이날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재난연구원, 안전보건공단 등과 지난달 붕괴된 201동에서 현장 감식을 벌였다.

수사본부 등은 기본설계도 등을 토대로 도면과 실제 시공 현황을 비교하고 3D 스캐너 등을 활용해 붕괴 진행 과정을 살펴볼 계획이다. 국과수 등은 구조적 붕괴 원인을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현장에 남은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수사본부는 붕괴된 201동 39층 아래 3개층 동바리(지지대) 미설치와 공법 변경에 따른 역보(수벽) 무단 시공 등을 붕괴사고의 주요원인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장 감식도 현재까지 추정한 과실 요인이 붕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정밀 분석하고 있다.

수사본부 관계자는 “과학적 원인 규명과 부실시공을 입증할 증거 확보가 중요하다”며 “필요하다면 철거를 늦추더라도 충분히 현장을 확인해 붕괴 원인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사본부는 전날 1차 현장감식에서 201동 23층부터 39층 사이 외벽·바닥에 남은 콘크리트와 부서진 잔해를 드릴로 뚫어 지름 10㎝ 길이 20㎝의 콘크리트 원형 시료 67개를 확보했다.

최초 붕괴가 발생한 39층에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한 현대산업개발(현산) 현장 공사 책임자와 하도급 업체 현장소장 등을 상대로 안전규정 준수 여부 등을 따져보고 있다.

그동안 붕괴 현장에서 24시간 체제로 진행된 실종자 수색작업으로 현장 실무자 소환 조사 등이 지연됐지만 8일까지 실종자 6명 전원이 수습됨에 따라 원인규명과 책임자 규명을 위한 수사는 탄력을 받고 있다.

현재 시공사인 현산 직원 6명, 감리 3명, 하청업체 관계자 2명 등 총 11명을 업무상 과실 치사상과 건축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된 상태다.

붕괴사고 현장에서는 광주 서구청 주도로 피해복구 후속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붕괴된 201동 남측 외벽 좌우측 붕괴면을 우선 철거하기 위한 작업에도 착수한다.

광주시는 이날 “현장에 설치한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당분간 유지하면서 중앙부처, 서구청과 현대산업개발의 수습작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시와 서구는 지역건축안전센터 설치 등 특단의 대책도 추진할 방침이다.

전담 상시 조직을 설치하기로 한 서구는 해당 건설사업이 끝날 때까지 갈등을 중재하고 적절한 피해 보상이 이뤄지도록 한다는 입장이다.

붕괴사고로 숨진 6명의 장례 절차 지원과 함께 유족 보상 협의를 위한 대한법률구조공단 등의 법률 지원도 추진한다.

관심을 끄는 철거범위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백화점과 인접한 화정아이파크 건물 철거는 매우 어려움을 겪게 될 전망이다. 세계적으로 붕괴된 초고층 도심 속 건물을 철거한 사례가 드물기 때문이다.

붕괴사고가 발생한 201동만 정밀안전진단 후 철거할 지, 아니면 화정아이파크 1,2단지 8개 동의 전면 철거를 하게 될지 짧게는 철거에만 6개월에서 1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철거공법 결정은 더 난해하다. 전통적 발파공법은 물론 자체 중량이 무거운 ‘롱붐암(특수 굴착기)’ 등의 장비를 건물내부로 올려보내는 장비탑재식 철거도 현재 건물상태로는 견디기 힘들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광주시는 붕괴사고 피해자 수습과 지원에 들어간 임시 사무실 임차, 숙박 비용을 현산에 청구하기로 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