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국내공급지수가 지난해 역대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코로나19로 부진했던 제조업이 다시 기지개를 켜면서 경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통계청은 9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및 연간 제조업 국내 공급 동향’에서 지난해 제조업 국내공급지수가 전년 대비 4.5% 증가했다고 밝혔다. 국산은 기계장비, 화학제품 등이 늘어 0.7% 증가했고, 수입은 전자제품, 기계장비 등이 늘어 14.7% 늘었다.
시스템 반도체 수요에 따라 전자제품 수입이 늘었고, 기계장비도 반도체 설비에 필요한 장비 수입이 늘어나면서 수입 증가를 견인했다. 수입점유비는 전년 대비 2.2%포인트 오른 29.4%를 기록했다.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2018년(-0.7%) 첫 감소 이후 2019년(0.0%) 정체했다가 2020년(-1.2%) 코로나19 위기로 크게 하락했다. 지난해 지수가 반등하면서 4년 만에 국내공급지수는 상승세를 보였다.
4분기 동향을 보면 국산은 금속가공, 기타 운송장비 등이 줄어 0.5% 감소했고, 수입은 전자제품, 석유정제 등이 늘어 15.3% 증가했다. 전체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112.9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9% 상승했다. 자동차 국내 공급은 지난해 연간으로는 4.0% 증가했으나 3분기(-5.5%)와 4분기(-4.7%)에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의 영향으로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건설업 부진으로 금속가공 생산이 줄었고, 컨테이너선 공급이 줄어든 여파로 기타 운송장비에서도 감소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