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국토부 손잡고 ‘모아타운’ 사업…5년간 3만호

입력 2022-02-09 14:55
오세훈 서울시장이 13일 오후 서울 모아타운 시범사업지인 강북구 번동에서 '모아주택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모아주택은 이웃한 다가구·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개별 필지를 모아서 블록 단위로 양질의 주택을 공동 개발하는 정비모델로 신축·구축 건물이 뒤섞여 있어 재개발 요건 충족이 어려운 저층 주거지를 위해 도입됐다. 뉴시스

서울시와 국토교통부가 손을 잡고 노후 저층주거지의 새로운 정비방식인 ‘모아타운’을 본격 추진한다. 모아타운은 블록단위 ‘모아주택’을 묶어 대단지 아파트처럼 관리하는 모델이다.

서울시는 모아타운 대상지 자치구 공모를 10일부터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마감은 다음 달 21일이다. 시는 각 자치구가 주민 의견수렴을 거쳐 모아타운 대상지를 서울시에 신청하면 선정위원회 평가를 거쳐 최종 대상지를 4월까지 25개 정도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서울시는 이번 공모를 국토부와 협력해 진행한다. 국토부는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3차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있는데 서울지역 공모를 ‘모아타운’ 공모와 통합 추진하는 것이다.

모아타운 공모에 참여할 수 있는 대상지는 면적 10만㎡ 미만, 노후·불량건축물이 50% 이상인 지역이다. 다만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주거지를 정비하는 모아타운 특성상 재개발 추진 또는 예정 지역 등은 제외된다.

모아주택은 가로주택정비 등 소규모주택정비사업 방식을 활용해 다가구·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개별 필지를 모아 블록단위로 적정 필지 규모(1500㎡) 이상의 중층 아파트를 개발하는 개념이다. 모아주택 사업이 집단 추진되는 10만㎡ 이내 지역을 묶어 노후주택정비와 지역 내 필요한 공영주차장 등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모델이 모아타운이다.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주민들은 노후도, 용적률 및 층수 완화 등 다양한 혜택을 받고 소규모주택정비사업 방식으로 모아주택을 추진하고, 공공에서는 예산을 투입해 지역 내 부족한 공영주차장, 공원 등 기반시설 조성을 지원한다. 특히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국·시비로 최대 375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시는 모아타운 사업을 통해 무분별한 개별사업으로 인한 나홀로 아파트 양산과 저층주거지 주차난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대단지 아파트처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지난해 국토부(13곳)와 서울시(12곳)가 선정한 서울지역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후보지 중 적정한 곳은 모아타운으로 지정하고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5년간 모아타운을 매년 20개씩, 총 100개를 지정하고 총 3만호의 신축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모아타운은 재개발이 어려운 다세대 밀집 저층 주거지역의 심각한 주차난과 부족한 기반시설 문제를 해결하고, 양질의 주택 공급을 확대해 주거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새로운 정비방식”이라며 “국토부 협력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착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