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3D 프린팅 조선해양 분야 혁신

입력 2022-02-08 14:28 수정 2022-02-08 14:29

울산시가 3D 프린팅 기술과 조선해양 분야의 융합을 통해 주력 산업 고도화와 신산업 육성에 나선다.

울산시와 현대중공업 등 11개 기관은 8일 3D 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에서 ‘조선해양 분야 3D 프린팅 사업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은 공동 연구개발 사업으로 선박 모형 제조, 주조품 실증, 선박용 3D 프린터 개발, 3D프린팅 의장품 개발 등을 우선 선정했다.

조선해양 분야 3D 프린팅 주조품 실증사업은 복잡하고 특수한 모양의 조선해양 장비와 부품을 3D 프린팅 기술로 생산하는 사업이다.

한국주강이 50억원을 투자해 2023년 6월 사업화를 목표로 약 1년 6개월 동안 실증사업을 진행한다.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부품이 확대되면 조선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선박용 3D 프린터 개발은 선박 운항 중 예상치 못한 고장에 대비하기 위해 선내에서 직접 부품 생산이 가능한 3D 프린터를 만드는 사업이다.

오는 2025년 장비 개발을 목표로 3년간 30억원을 투입한다.

선박을 건조하기 전 사전 제작하는 축소 모형을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하는 사업도 오는 6월 상용화에 나선다. 완성품은 현대중공업 등에 납품될 예정이다.

3D 프린팅 의장품 개발은 고내열성 복합재료를 활용한 3D프린팅 장비 및 공정 개발로 선박 의장품의 무게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해 생산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사업에는 장진이 제작 파트너로 참여해 3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조선해양과 3차원 프린팅 산업이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