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선수단장 “선수 지키지 못해 죄송…IOC위원장 면담 요청”

입력 2022-02-08 14:25 수정 2022-02-08 14:27
8일 중국 베이징 메인미디어센터(MMC)에서 열린 대한민국 선수단 베이징 동계올림픽 긴급 기자회견에서 윤홍근 선수단장이 쇼트트랙 판정 문제 관련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홍근 베이징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장이 쇼트트랙에서 나온 심판의 판정에 이의를 제기하며 토마스 바흐 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의 면담을 요청했다.

윤 단장은 8일 중국 베이징의 메인미디어센터(MMC) 프레스 컨퍼런스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쇼트트랙 젊은 선수들의 청춘을 지켜내지 못한 부분에 대해 대한민국 선수단을 대표해 선수단장으로서 사죄와 용서를 구한다. 정말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는 “국제빙상경기연맹(ISU)과 IOC에 항의 서한을 발송해 강력하게 이의를 제기했다. 이기흥 대한체육회 회장과 유승민 IOC 위원을 통해 직접 바흐 위원장과 면담을 요청해 놓은 상황”이라며 “부당한 일이 다시는 벌어지지 않도록 강력하게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능한 방법을 모두 찾아 절차에 맞춰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소하겠다. 다시는 국제 빙상계와 스포츠계에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단장은 일각에서 주장하는 올림픽 보이콧에 대해서는 “논할 단계는 아니다”라며 선을 그었다. 그는 “국민들로부터 선수들을 철수하라는 요청이 쇄도한다. 하지만 이제 올림픽이 시작됐다. 앞으로 남아있는 경기가 더 많다”며 “선수들이 투혼을 발휘해서 남은 경기에서 최고의 감동을 만들도록 국민들께서 더 큰 응원과 격려를 해달라”고 호소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사흘째인 7일 오후 중국 베이징 캐피탈 실내 경기장에서 열린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준결승 4조 경기에서 중국 리원룽이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 황대헌을 밀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우리 쇼트트랙 선수들은 지난 7일 남자 1000m에 출전한 황대헌(강원도청)과 이준서(한국체대)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심판 판정으로 탈락했다.

황대헌은 준결승 1조에서 중국의 런즈웨이, 리원룽과 함께 레이스를 펼쳐 당당하게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하지만 심판은 비디오 판독 이후 황대헌이 선두로 치고 나갈 때 급격한 레인 변경을 이유로 실격 판정을 내렸다. 황대헌의 실격으로 조 3위였던 리원룽이 결승행 티켓을 획득했다.

준결승 2조 경기에서도 이준서가 조 2위를 기록했지만 판정에 발목이 잡혔다. 심판들은 이준서가 마지막 바퀴를 남기고 리우 샤오왕(헝가리)과 부딪친 부분에서 레인 변경 판정을 내리며 그의 탈락을 선언했다. 조 3위였던 우다징(중국)이 이준서를 대신해 결승에 진출했다.

이에 대한체육회는 경기 후 심판위원장에게 항의했으며 ISU와 IOC에 항의 서한문을 발송했다.

ISU는 심판 판정에 문제가 없다는 공식입장을 내놨지만 ISU 국제심판인 최용구 쇼트트랙 대표팀 지원단장은 ‘명백한 오심’이라고 강조했다.

8일 중국 베이징 메인미디어센터(MMC)에서 열린 대한민국 선수단 베이징 동계올림픽 긴급 기자회견에서 최용구 쇼트트랙 대표팀 지원단장이 쇼트트랙 판정 문제와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 단장은 “오심은 한 번으로 족하다. 한 번 이상은 오심이 아니다. 고의적”이라며 “중국 선수가 황대헌의 추월을 지속적으로 방해했다. 이때 황대헌이 히든카드를 한 번 썼다. 흔들어 놓고 안으로 파고드는 작전이었다. 뒤늦은 추월로 접촉이 있다면 실격을 줄 수 있다. 근데 그 장면에서는 접촉이 전혀 없다. 실격을 안 줘야 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준서 실격 판정에 대해서는 “비디오 영상으로 파악한 바로는 중국 선수가 헝가리 선수 왼쪽 엉덩이에 손을 댔고, 중심이 흔들려 넘어지는 상황에서 이준서와 충돌했다. 개인적인 생각과 영상 분석 결과로는 헝가리와 중국 선수에게 문제가 있었다”면서 마찬가지로 실격 사유로 보기 어렵다고 했다.

ISU의 공식 발표를 두고는 “충분히 예견했다. 판정은 번복할 수 없다. 앞으로 남은 종목이 많은데 또 이런 불이익이 생길까 싶어서 이렇게 하는 것이다. 더 강력하게 제소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