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문화전당재단 경영진 임명 내홍…법적 조치 예고

입력 2022-02-08 13:59 수정 2022-02-08 14:0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재단의 경영진 임명을 둘러싼 광주 지역사회 내홍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시민사회·문화예술계는 전당 재단 초대 이사장·사장의 임명 철회를 위한 법적 조치까지 예고하고 나섰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사업정상화 시민연대는 8일 “새로 출범한 문화전당 재단 이사장·사장 임명 과정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와 임명 무효 가처분 신청 등 법적 조치를 단행하기 했다”고 밝혔다.

지난 3일 세종시 문화체육관광부 회의실에서 문체부 1차관과 면담했으나 특별한 면직 사유가 없는 한 임명 철회는 어렵다”는 답변을 들은 데 따른 후속 방안이다.

시민연대는 면담에서 비상임·명예직인 이사장은 어쩔 수 없더라도, 문화적 전문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장 임명은 철회해달라고 한발 물러섰으나 아무런 답변을 듣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민연대는 “지역사회와 소통을 거치지 않은 경영진 임명은 특별법에 규정된 정관 작성·임원 추천 기구인 ‘설립추진단’조차도 추천·심의·임명에 관한 전반적 과정을 전혀 몰랐다는 점에서 불법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이 단체는 “누가 봐도 이해하기 어려운 이번 인사를 누가 주도했는지 반드시 규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주시와 국회의원, 조성지원포럼 등이 참여한 아시아문화전당운영 정상화를 위한 시민협의체도 7일 발표한 성명에서 “문체부 인사 추천자와 심의과정을 신속히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시민협의체는 “임명된 인사들은 재단이 수행 해야 할 기능이나 역할과 들어맞지 않다”며 “지역 정치인의 개입 등으로 파행적 인사가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협의체 관계자는 “이사장·사장 임명은 정부 고유 권한이지만 향후 수행할 역할·기능을 고려하면 지역사회 동의를 반드시 거쳐야 합당하다”고 밝혔다.

앞서 이용섭 광주시장은 지난달 18일 대변인 명의로 “이사장·사장 임명과 관련해 문체부가 광주시와 일체의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는 이례적 성명을 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단체장이 정부를 비판하는 성명을 낸 것은 의외로 받아들여진다.

이 시장은 “특별법 개정안 국회 통과를 위해 광주시와 시민사회단체, 문화예술인, 지역 정치권 등 150만 광주시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성원하고 협력한 점에 비춰 볼 때 일방적 인사 단행에 크나큰 실망과 함께 향후 운영에도 깊은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문체부는 지난달 17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개정에 따라 새로 설립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초대 이사장으로 최영준(63) 전 광주 MBC 사장, 운영을 총괄하는 사장에 김선옥(64) 문화예술협회 이사장(전 광주시의원)을 임명했다.

지난해 2월 우여곡절 끝에 국회를 통과한 뒤 같은해 9월 시행된 특별법에 따라 지난달 17일 출범한 문화전당재단은 문체부 산하 공공기관이다. 아시아문화 콘텐츠 창·제작을 전담해온 아시아문화원을 흡수 통합해 설립됐다.

사장과 사무국장 아래 경영관리, 대외협력 등 6개 팀 132명이 근무한다. 최고 의결기구인 이사회는 문화, 예술, 콘텐츠, 홍보 등 전문가 15명으로 구성됐다.

광주지역 문화계 인사는 “문화전당 운영을 뒷받침하고 문화사업도 활발히 개발해야 할 전당재단이 출범 초기부터 삐그덕거리고 잡음에 휩싸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문체부가 최소한 사장 임명이라도 철회하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