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경기 편파판정으로 ‘반중 정서’가 끓어오르자 더불어민주당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재명 대선 후보가 직접 나서 연일 대중국 비판 메시지를 내면서 여당의 ‘친중 이미지’ 탈피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 후보 측은 높은 정권교체 여론과 이 후보 본인·가족의 도덕성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힘이 ‘민주당=친중’ 프레임 공세를 강화할 경우 이 후보의 외연 확장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민주당 내부에서 크다.
이 후보는 7일 쇼트트랙 경기 직후 페이스북에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에 실망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는 글을 올렸다.
이 후보는 이어 “우리 선수들이 기죽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실력으로 끝까지 최선을 다한 우리 선수단 여러분이 진정한 승자”라고 적었다.
이 후보의 중국에 대한 비판 메시지는 점점 강해지고 있다.
앞서 이 후보는 베이징올림픽 개막식 때 한복 논란이 벌어지자 중국 정부를 직접 겨냥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지난 5일 경남 창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올림픽이라는) 축제의 시간을 문화공정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나 하는 일각의 시각에 중국 정부는 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4일엔 페이스북에 “문화를 탐하지 말라. 문화공정 반대”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민주당은 특히 중국의 올림픽 편파판정 논란이 ‘공정 프레임’을 자극했다며 크게 우려하는 분위기다.
공정 문제는 2030세대가 민감하게 여기는 사안이라 민주당의 고민은 크다.
또 야권의 공세 등으로 덧씌워진 친중 이미지 탓에 반중 정서가 확산될 경우 민주당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도 있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8일 “민주당이 아무리 친중이 아니라고 하지만 유권자들에게 어떻게 비쳐질지를 잘 살펴봐야 한다”며 “북한 미사일은 대중이 이미 익숙해진 측면이 있는데, 베이징올림픽 판정 논란은 북한 미사일보다 부정적인 영향이 훨씬 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선대위 고위 관계자는 “올림픽 때문에 반중 정서가 완전히 끓어오르고 있다”며 “특히 중국이 공정 문제를 건드린 것은 민주당에 악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스포츠와 정치는 분리해야 한다는 대응 기조로 베이징올림픽 논란의 정치화를 차단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선대위 관계자는 “올림픽 문제는 정치화 시킬 일이 아니다”라며 “외교나 정치 이슈로 공세를 펼치는 것은 문제고, 중국의 올바르지 못한 태도에 대해 단호하게 비판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한 민주당 의원은 “실제로 가장 친중 정부는 박근혜정부였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어 “1992년 수교 이후 한중 관계가 가장 소원해진 것은 현 정부 시기”라며 “오히려 정부 여당은 미국과의 관계에 신경을 썼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배경에는 국민의힘의 민주당에 대한 친중 공세가 강화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지난해 말 “현 정부가 굉장히 중국 편향적 정책을 썼지만 한국 국민들 특히 청년들 대부분은 중국을 싫어한다”며 친중 프레임 공세를 본격화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도 최근 이 후보의 ‘고속도로 졸음쉼터 태양광 그늘막 설치’ 공약에 대해 “중국 태양광 패널업체들을 위한 공약”이라고 저격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이 대표의 ‘태양광=친중’ 프레임은 질 낮은 선동”이라고 반박한 바 있다.
국민의힘의 공세가 강화되자 이 후보와 민주당 선대위는 선제적으로 중국에 대한 메시지를 내는 등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이 후보 측 핵심 관계자는 “후보가 최근 ‘우리의 뜻이 왜곡되지 않도록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달라’고 주문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재현 최승욱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