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자강도 화평군 회중리 미사일 운용기지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부대 운용 목적을 위해 건설된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빅터 차 한국석좌와 조지프 버뮤데즈 연구원 등은 7일(현지시간) 북한전문 사이트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에 회중리 미사일 운용기지 분석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게재하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미사일 기지는 여의도 면적(2.9㎢)의 두 배가 넘는 6㎢ 면적으로, 중국 국경과는 불과 25㎞ 떨어진 접경 지역에 있다. 비무장지대로부터는 북쪽 383㎞ 지점에 있다.
보고서는 회중리 기지가 현재 실제 운영, 유지되고 있고, 기지 인프라에 대한 소규모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지에는 운용 본부와 보안 시설, 지하 시설, 거주 및 농업 지원 등 6개 활동 공간이 있고, 탄도미사일은 물론 이동식 발사차량, 이동식 거치대(TE) 등을 수용할 공간도 있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다만 소식통을 인용해 이 기지는 북한의 ICBM 장비를 갖춘 연대급 부대를 수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부대가 배치됐다는 징후는 없다고 전했다.
차 석좌 등은 이에 대해 “기지 공사가 완료되지 않았을 가능성, 작전 투입이 가능한 ICBM 제조가 끝나지 않았거나 작전에 필요한 훈련된 요원이 부족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기지에 ICBM을 단기에 실전 배치할 수 없을 경우 지난달 30일 자강도에서 발사된 화성-12형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이 배치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과거 북한 영저리 미사일 기지 보고서에서 회중리의 존재를 추정한 적은 있지만, ICBM 운용 기지라고 확인하는 심층 공개 보고서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영저리와 회중리 기지는 15㎞ 떨어져 있다.
보고서는 회중리 미사일 기지가 약 20년 전 공사를 시작해 가장 최근에 완공된 북한 전략군 기지 중 하나라고 추정했다. 이 미사일 기지는 그간 북미 비핵화 협상 때 논의 대상에 오른 적이 없는 곳이다.
차 석좌 등은 그동안 공표되지 않았던 북한의 약 20곳 탄도미사일 기지에 대한 분석 작업을 지속해 왔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