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통제’ 비판에도 中 “제로 코로나 고수”

입력 2022-02-07 18:00
중국 베이징의 한 호텔에 마련된 베이징미디어센터(BMC) 옆 건물에서 지난 2일 코로나19 핵산 검사를 받으려는 사람들이 줄 서 있는 모습. BMC에 들어가려면 48시간 내 핵산 검사 음성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 국민일보DB

중국 보건당국은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없는 한 지금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바꾸지 않겠다고 밝혔다.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참석한 각국 선수와 관계자들이 중국의 과도한 통제를 비판하고 있지만 중국은 무관용 정책이 최선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우준여우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 수석전문가는 7일 관영 글로벌타임스 인터뷰에서 “아무리 서방 언론이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비방한다고 해도 중국 정책 결정자들은 그것이 무모한 재개방이 불러올 재앙을 없애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백신에만 의존해서는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할 수 없다”며 “백신이 팬데믹을 억제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긴 하지만 현재로선 종합적인 대책 말고는 방법이 없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올림픽에 참석하기 위해 입국한 사람들을 폐쇄 루프에서 특별 관리하고 있다. 공항에 내려 중국에 발을 디디는 순간부터 떠날 때까지 선수촌, 경기장, 연습장 등 정해진 장소에만 있어야 하고 외부와의 접촉이 금지된다. 특수한 상황에서 열리는 올림픽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통제가 지나치다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지만 중국 관영 매체는 오히려 서방이 중국식 방역 정책을 배울 기회라고 선전하고 있다.

중국이 제로 코로나를 포기하지 못하는 데는 다른 이유가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미국외교협회(CFR)은 최근 보고서에서 “전염성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가 중국의 가혹한 방역 정책에 도전이 되고 있고 중국 백신 효능에도 의문을 던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 인구 대부분이 오미크론 변이에 취약해 작은 발병이 대규모 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고 종국에는 나라 전체를 집어삼킬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최대 명절 춘제 연휴 마지막 날인 지난 6일 남부 광시장족자치구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해 바이써시 주민 300만명이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바이써시에서 확인된 감염자는 98명으로 이중 3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시 당국은 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핵산 검사를 벌이고 있어 확진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