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7일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은 여성이 출연한 것에 대해 ‘역사 왜곡 시도’라는 지적이 이어지자 “한복이 우리의 전통 의복 문화라는 것은 전 세계가 인정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지난 4일 논란이 불거진 지 사흘 만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한복이 우리 전통문화라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관련 부처에서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청와대 참모회의에서 한복 논란 관련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이 있었느냐는 질문엔 “언급이 없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4일 개최된 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여성이 중국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중국 내 56개 민족 대표 중 한 명으로 등장하자 국내에서는 ‘중국이 한복을 자신들의 것이라고 주장한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지난 6일 “한복이 전 세계의 인정을 받는 우리의 대표적인 문화 중 하나라는 점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면서 “중국 측에 고유한 문화에 대한 존중과 문화적 다양성에 기초한 이해 증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전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일각에선 우리 정부가 중국 측에 공식 항의를 하지 않는 것을 두고 저자세 외교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에서 반중 정서가 고조되는 것에 대해 중국 매체들도 관련 소식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는 “조선족 전통 복식을 한 중국인 여성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 국기 전달 코너에서 등장해 한국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며 “대선이 임박한 정치권에서 ‘중국이 한복 문화를 노린다’거나 ‘문화수탈’이라는 비난을 하며 정부에 항의를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올림픽 개막식을 두고 우리 언론에서 조선족 복식과 장구에 초점을 맞춰 ‘중국이 문화동북공정을 시도했다’고 비난했다고 보도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