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한국문화기술(CT) 연구원 광주 설립이 무산될 위기를 맞고 있다. 문화중심도시 광주의 문화콘텐츠 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인 연구원 설립이 15년째 겉돌고 있다.
7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정부는 2007년부터 아시아 최대의 문화복합시설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동반성장을 꾀하고 다양한 문화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한 문화 분야 국책연구기관인 CT 연구원의 광주 설립을 추진해왔다.
과학기술과 인문학·예술 등이 융합된 개방형 연구개발을 위한 CT 연구원이 문화기술 분야 원천·응용기술을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 등 문화상품 기획·제작·유통 등에 활용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맡도록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당시 노무현 대통령의 ‘광주 문화수도 육성’ 공약에 따른 CT 연구원 설립은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거치면서 논의조차 되지 않다가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다시 국가사업으로 추진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애초 CT 연구원은 오는 2024년까지 총사업비 1987억 원을 들여 연구원 280명 등 330명 규모의 국책 연구원으로 문을 연다는 청사진이 제시됐다.
문화콘텐츠 산업을 지원하는 핵심 연구기관으로서 콘텐츠 창·제작 관련 핵심기술 개발과 문화산업 활성화 등을 주도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활성화를 뒷받침한다는 것이다.
광주시는 이에 따라 지난 2018년 민·관 협의기구 성격의 ‘한국 CT 연구원 광주유치·설립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이어 2019년 7월 CT 연구원 설립을 위한 국회 정책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연구원 설립작업을 진행해왔다.
법적 설립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문화산업진흥기본법 개정안을 문체부에 건의하기도 했다. 문체부 역시 ‘CT 연구원 설립추진 자문위원회’를 중심으로 예비타당성조사 사전 용역을 한국콘텐츠진흥원에 의뢰하는 등 설립작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주무 부처인 기획재정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난색을 표명하면서 수년째 발목이 잡힌 상황이다. 기재부 등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수행 중인 사업과 중복돼 예산 낭비가 우려된다며 CT 연구원 설립을 반대하고 있다.
광주시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원활한 문화콘텐츠 창·제작과 문화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광주에 CT 연구원 설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CT 연구원 광주 설립 자문TF 위원장인 김영집 GIST 대외부총장은 “정부의 무관심으로 CT 연구원 설립 사업 자체가 무산될 위기”라며 “반도체 시장과 버금가는 문화콘텐츠 시장에 서둘러 진출하는 것은 국가적 이익과도 부합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