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오는 3월 새 학기에 유치원 및 초·중·고교에 적용할 ‘2022학년도 1학기 학사운영방안’을 7일 발표한다.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다음 달 10만명을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서 학습 결손과 정서·심리상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학생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방안이 나올지 주목된다.
교육부는 가급적 많은 인원을 등교시키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4일 시·도교육감과의 영상회의 모두발언에서 “정상등교 원칙은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정상등교는 지난해 전면등교보다는 학교 현장에 좀 더 재량권을 주는 개념이지만 ‘최대한 많은 인원을 등교시킨다’는 방향성에는 큰 차이가 없다. 원격수업이 잦아질수록 학습 결손과 정서·심리상 피해가 커진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관건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과 맞물린 학생 안전이다. 새 학기가 시작되면 학교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와 격리자가 대거 발생할 것으로 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최대한 많이 등교시키되 지역·학교별 특성에 맞는 유연한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이 이번 발표에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예컨대 같은 학교 혹은 학년, 학급에서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지역과 학교 여건에 따라 맞춤형 대응 방안을 준비하겠다는 뜻이다.
다만 지역·학교마다 코로나19 대응 체계가 중구난방이 돼 혼란이 일어날 수 있다. 교육부가 새 학기를 20여일 앞둔 비교적 이른 시점에 학사운영방안을 확정해 발표하는 것도 학교 현장에 충분히 대비할 시간을 주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유 부총리는 시·도교육감 회의에서 “신속항원검사 체제 도입 및 진단검사 시행방안을 공유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보건소 중심의 유전자증폭(PCR) 검사 외에도 신속항원검사 등으로 확진자를 조기에 찾아내 학교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되는 걸 막아보겠다는 의미다. 서울시교육청의 경우는 이미 이동형 PCR 검사, 신속 PCR 검사 등으로 ‘다중검사 체계’를 만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학교에 나오지 못하는 인원을 위한 대체학습 및 원격수업 내실화 방안도 주목된다. 유 부총리는 “학생과 학부모들의 요구가 큰 사항으로 확진자와 격리자가 대거 발생하는 상황에서 학습권 보장을 위한 수업 운영방안이 이번 학사운영 방안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백신을 맞지 않은 상태이고, 원격수업에 따른 학습·정서·심리적 피해가 상대적으로 큰 연령대여서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