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기업과 펀드, 투자 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서울시 전담기구(IPA)인 서울투자청이 7일 공식 출범한다. 홍콩 국가보안법 사태 이후 글로벌 금융기관이 홍콩을 등지는 ‘헥시트(홍콩+엑시트) 상황 속에서 아시아 금융허브 지위에 도전하기 위해서다. 서울시는 2030년까지 외국인 직접투자(FDI)를 지난해(179억 달러)의 배에 가까운 연간 300억 달러까지 확대키로 하고 본격적인 투자유치전에 돌입한다.
서울투자청은 국내 시장 분석과 해외 기업 유치, 투자 촉진 활동을 총망라하는 ‘올인원 패키지’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기존 투자유치 지원 기능을 담당했던 ‘인베스트 서울센터’의 역할을 확대해 서울투자청으로 재편했다. 나아가 2024년 별도의 출자·출연기관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서울투자청은 출범 첫해 서울시 투자환경을 집대성한 전략적 마케팅, 대륙별 투자유치단 출범, 외국인 직접투자 맞춤 지원 세 분야에 집중키로 했다. 우선 산재해있던 국내 기업과 투자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원스톱 통합 플랫폼’을 4월 출시한다.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365일 24시간 전문적인 영문 투자 상담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글로벌 펀드를 운영 중인 해외 벤처투자자(VC) 등으로 구성된 ‘서울시 글로벌 투자유치단’도 구축한다. 지난해 유럽 중동 미국 투자자 3명을 위촉한 데 이어 올해 대륙별로 추가 10명을 위촉할 예정이다. 이들은 자신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서울시 투자환경을 세계에 알리고 잠재 투자처를 발굴, 기업에 연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국내 투자사와 창업 지원기관 등을 통해 AI, 바이오, 핀테크 등 경쟁력 있는 국내 우수기업 1000곳과 해외 잠재 투자자 3030곳을 발굴해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한다.
투자를 완료한 기업이 재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FDI 전 과정도 관장한다. 개별 기업에 대한 직접 투자, 법인 설립, 조인트 벤처 등 해외 투자자가 원하는 방식에 따라 사무실 설립, 투자 신고, 정착 지원, 경영 컨설팅까지 ‘올인원 패키지’를 운영키로 했다.
서울에서 사업을 시작하거나 확장을 추진하는 해외 기업을 대상으로는 상시 사업파트너와 바이어, 투자자 매칭 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에 투자 인센티브까지 연계해 보조할 수 있도록 사후관리 비즈매칭 프로그램도 운영키로 했다. 황보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서울이 금융 허브로 도약하는 발판이 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