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7일 새 학기 학교현장에 적용될 ‘2022학년도 학사 운영방안’을 발표한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 심각하지만 코로나19 상황이 2년 이상 지속되면서 학생들의 교육 결손이 커진 만큼 정상 등교수업을 원칙으로 한다는 게 교육부의 기본 원칙이다. 다만 시도교육청과 학교의 자율성을 강화해 각 특성에 맞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할 것으로 보인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4일 시도교육감과의 간담회에서 “앞으로 확진자와 격리자가 대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라면서 “학습 결손 최소화와 학습권 보장을 위한 수업 운영방안은 새 학기 학사 운영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교 내에서 신속항원검사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미 이동형 PCR검사팀, 서울대와 함께 도입한 신속 PCR검사, 자가진단키트로 ‘다중검사체계’를 만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같은 학교나 반에서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자가격리, 동거가족 중 확진자가 나왔을 때 등교 방식 등 학교 방역지침이 어떻게 변화할지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새 학기를 앞둔 학부모들은 백신 접종 대상도 아닌 아이들이 현재와 같은 확산 속에 등교해도 되는지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등교를 해도, 안 해도 걱정인 상황이다.
현재 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에 백신 접종률이 낮은 소아·청소년 확진도 많아지는 추세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지난 4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중 10∼19세는 15.9%, 0∼9세는 10.5%에 달했다.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은 10∼19세가 2427명으로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