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최근 4자 TV 토론에서 논란을 일으킨 ‘RE100’과 ‘EU 택소노미’ 개념을 5일 다시 거론했다. 둘 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토론 과정에서 모른다고 했던 전문용어다.
RE100은 기업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자는 글로벌 캠페인을, EU 택소노미는 어떤 산업이나 기업 활동이 친환경인지 구분해주는 녹색분류체계를 말한다.
민주당은 이를 모르는 건 윤 후보의 자질 문제라며 맹공을 펴고 있다.
이 후보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 울산을 탄소중립 핵심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원전 도시’인 울산을 재생에너지 산업의 요충지로 바꾸겠다는 얘기다.
이 후보는 ‘탈원전 정책에 대한 야당의 우려가 크다’는 취재진 질문을 받고선 “재생에너지로의 산업체계 전환은 다시 성장하기 위한 피할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러고선 “야권 일각에서 이에 대해 매우 안이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고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윤 후보와 차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윤 후보는 미래산업의 핵심은 재생에너지가 아닌 데이터나 인공지능(AI) 산업이라는 입장이다.
이 후보는 이어 작심한 듯 EU 택소노미에 대해 길게 설명했다. 이어 “EU 택소노미를 따르지 않으면 우리 기업들 수출에 막대한 지장을 준다”며 “우리가 재생에너지로 가야 한다는 것은 아무리 부인해도 피할 수 없는 과제”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대선 후보 토론 과정에서 재생에너지 문제가 중요한 주제가 됐다는 점은 매우 다행”이라며 “우리 국민이 전보다 훨씬 많은 관심을 갖게 돼 참으로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이 후보는 불쑥 RE100도 거론했다. RE100은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후보는 “4년 전 국내 대기업이 RE100 요건을 못 맞춰 엄청난 규모의 수출 피해를 입었는데 앞으로는 훨씬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고선 “국가 단위의 대대적인 산업전환을 위한 인프라, 인재, 과학기술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요한 논쟁거리라 길게 말씀드렸다”며 말을 마쳤다.
울산=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