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4일 SNS에 “문화공정 반대”라는 글을 올렸다. 이날 생중계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복으로 보이는 옷차림의 소수민족 대표가 등장해 논란이 일면서다.
이 후보는 이날 밤늦게 페이스북에 “문화를 탐하지 말라”며 “문화공정 반대”라는 짧은 문구의 게시물을 올렸다. 베이징올림픽 개막식 영상에서 한복을 중국 고유의 문화로 소개하는 장면이 나와 온라인과 정치권 등에서 논란이 되자 입장 표명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동계올림픽 개막식에는 한복으로 보이는 옷을 입고 머리를 뒤로 길게 땋은 여성이 등장해 논란이 됐다. 이 장면은 ‘소시민들의 국기 전달’이라는 이름으로 연출됐다. 중국 56개 민족 대표 등 각계각층의 중국인이 국기에 대한 애정과 유대감을 담아 손에서 손으로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모습을 그려낸 것이다.
중국 길림에 사는 조선족을 소개하면서 상모를 돌리고 장구를 치는 모습도 영상으로 등장했다. 한국 고유의 문화가 마치 중국 전통문화인 것처럼 표현된 셈이다. 중국은 지난해 베이징동계올림픽 홍보 영상에서도 한복과 상모돌리기를 등장시켜 논란을 빚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동북공정 진짜 심각하다” “전세계인이 평화롭게 스포츠 정신으로 하는 축제인만큼 정부가 항의해야 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야권에서도 반발이 이어졌다.
원희룡 국민의힘 선대본부 정책본부장은 페이스북에서 “한복, 장구에 상모돌리기까지?”라며 “풍물놀이는 2014년에 유네스코에 등재된 우리나라 전통이다”라고 항변했다. 그러면서 “지방 축하행사라 해도 이런 일은 절대 일어날 수 없는 행태”라며 “중국의 문화침탈에 국가적으로 비상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은 박병석 국회의장과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직격했다. 배 의원은 “배이징 동계올림픽 준비 영상에 우리 문화를 훔쳐 소개했다고 지난해 국감에 미리 경고했고, 분명 장관이 유의하겠다 했다”면서 “국회의장, 문체부 장관이 직관하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최소한의 국민의 자존심, 배알을 빼놓을 정도로 신나게 넋놓는 개막식이었느냐”고 비판했다.
중국은 수년 전부터 한복을 ‘한푸(漢服)’라 부르며 자신들의 문화라고 주장해왔다. 앞서 중국 포털사이트 바이두(百度)는 백과사전 사이트에 지난해 9월 “한복은 ‘한푸(중국의 전통의상)’에서 기원했다”, “조선족 복식은 중국 조선족의 전통 민속으로 중국 국가급 무형 문화재 중 하나”라고 소개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