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열린 첫 대선 후보 TV 토론회에서 화제가 된 ‘RE100’ 공방이 장외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단어 문제가 아니라 국가 산업전환 핵심에 관한 것”이라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비판하자 윤 후보는 “모를 수도 있는 것 아닌가”라며 맞받아쳤다.
이 후보는 4일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우리동네공약 언박싱데이’ 행사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전국적으로 RE100 전용 산업단지 건설은 매우 중요한 현안”이라며 “수출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RE100은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로 2050년까지 전 세계 모든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선언이다.
앞서 이 후보가 전날 진행된 TV 토론회에서 윤 후보에게 “RE100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고 묻자 윤 후보는 “그게 뭔가요”라고 되물은 바 있다.
이 후보는 이날 “전 세계적으로 350개에 이르는 글로벌 기업이 RE100을 선언해 재생에너지 100%로 생산되지 않는 물품은 생산하지도, 공급받지도 않겠다고 했다”며 “일상적 삶 속에 있는 국민이 모르는 것은 있을 수 있지만, 전환적 시대에 국가의 경제를 세워야 하는 입장에서 RE100을 모른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웠다”고 비판했다.
윤 후보는 RE100 등 용어에 대해 잘 모른다고 답변한 데 대해 이 후보를 포함해 여권에서 ‘준비가 안 된 후보’라는 비판이 나오자 적극 반박했다.
윤 후보는 이날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학생체육관에서 열린 ‘대선후보 농정비전 발표회’ 참석 이후 관련 질문이 나오자 “대통령이 될 사람이 RE100 이런 거 모를 수도 있는 것 아닌가”라며 “앞으로도 좀 어려운 게 있으면 설명을 해 줘가면서 하는 게 예의가 아닌가 싶다”고 답했다.
‘윤 후보가 앞에서는 반중 발언을 하고 뒤에서는 몰라 사과하는 이중 플레이를 한다’는 노영민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발언에 대해선 “민주당 분들은 참 없는 말도 잘 지어낸다”라며 웃었다.
윤 후보는 여야가 추경 증액에 합의해도 정부는 반대하겠다는 홍남기 부총리의 입장에 대해선 “그건 그분 생각”이라며 “저희는 자영업자 소상공인 피해보상을 위한 구체적 자금과 용처 기준을 다 명시해 최소 50조가 필요하다고 이미 몇달전에 말씀드렸고 거기에 맞는 추경을 해오면 합의를 하겠다고 했다”라고 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