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인·9시 제한’ 2주 연장… 먹는 코로나 치료제 50대까지 확대

입력 2022-02-04 10:05
김부겸 국무총리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사적모임 인원을 최대 6인으로, 식당·카페 등 영업시간을 오후 9시로 제한하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2주간 더 연장키로 했다. 코로나19 치료제 처방 대상은 현행 60대 이상에서 50대 이상으로 확대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6일부터 적용될 거리두기 지침에 대해 “고심 끝에 현재 조치를 2주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전파력에 비해 중증화율이 낮은 오미크론의 특성, 충분히 확보된 중환자 병상, 고령층의 높아진 3차 접종률, 먹는 치료제 보급 등 변화된 상황에 맞게 거리두기를 일부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며 “특히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7주간 이어진 방역강화 조치로 인해 생업에 큰 고통을 겪고 계신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어려움과 국민 여러분의 피로감을 고려하면 쉽게 결론짓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총리는 “설 연휴가 지나면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세가 거침없이 상승하고 있다. 지금은 안전운전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설 연휴의 여파를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하루하루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는 오미크론의 속도를 늦추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결정에 대해 답답한 마음이 들 수도 있겠지만, 이해와 협조를 간곡히 요청한다”며 “방역상황을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들면 그사이(2주)라도 방역 조치의 조정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오는 7일부터 ‘먹는 치료제’ 처방 대상을 기존 60세 이상에서 50대까지 확대한다.

김 총리는 “다음 주부터 정부는 50대 이상까지 먹는 치료제 처방을 확대한다”며 “오미크론의 기동성에 맞서 재택치료 체계도 더 빠르고 더 촘촘하게 보완하는 방안을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어 “어쩌면 마지막 고비가 될 수도 있을 코로나의 거센 파고와 맞서고 있다”며 “거듭 말씀드리지만, 이번 위기를 넘어 일상을 회복하려면 ‘속도’와 ‘효율’로 맞서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 국민, 의료계가 3각 편대가 되어 ‘자율’과 ‘책임’ 방역을 실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