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18.17포인트(1.45%) 내린 35,111.1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11.94포인트(2.44%) 떨어진 4,477.4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38.73포인트(3.74%) 급락한 13,878.82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은 2020년 9월 이후 1년 5개월 만에, S&P 500 지수는 작년 2월 이후 1년 만에 각각 최대폭 하락이다.
새해 들어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예고 속에 급격한 하강곡선을 그리던 뉴욕증시는 최근 애플, 알파벳(구글), 마이크로소프트의 호실적에 힘입어 전날까지 반등세를 보였다.
그러나 전날 장 마감 후 발표된 메타의 작년 4분기 실적과 가이던스(실적 전망치)가 시장 기대를 밑돈 것을 계기로 차갑게 식었다.
애플이 도입한 새 사생활 보호 기능으로 올해 100억달러의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언급에 메타 주가는 사상 최대폭인 26.4% 폭락했다.
메타뿐 아니라 스냅(-23.6%), 트위터(-5.6%) 등 다른 소셜미디어 업체도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다만 스냅은 이날 장 마감 후 사상 첫 분기 순이익을 기록했다는 발표에 힘입어 시간외 거래에서 50% 이상 급반등 중이다.
역시 실적 전망이 불투명한 세계 최대 음악 스트리밍업체 스포티파이는 하루에만 16.8% 급락해 52주 신저가를 다시 썼다.
메타발(發) 공포가 시장 전반으로 번지면서 아마존(-7.8%), 마이크로소프트(-3.9%), 알파벳(-3.3%) 등 다른 빅테크주와 엔비디아(-5.1%), 퀄컴(-4.8%) 등 반도체주도 맥을 못 췄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