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일본 외무상과 통화서 ‘사도광산 등재 추진’ 항의

입력 2022-02-03 17:24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11일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코이카(한국국제협력단) 본부를 방문해 2022년 업무보고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3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의 첫 전화 통화에서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용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데 대해 항의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정 장관은 통화에서 “올바른 역사 인식이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근간”이라며 일본 정부가 한국인 강제노역의 아픈 역사를 외면한 채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 추진키로 결정한 데 대해 깊은 실망과 함께 항의의 뜻을 표했다.

정 장관은 2015년 군함도를 포함한 일본 근대산업시설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때 일본 스스로 약속한 후속 조치부터 충실히 이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조선인 강제노역 사실을 알리고 희생자를 기리는 시설을 함께 설치하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지만 아직 지키지 않고 있다. 지난해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역 역사를 제대로 알리겠다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비판하는 내용의 결정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정 장관은 “후속 조치를 이행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일본 정·관계에서 일본 정부가 스스로 표명해온 과거사 관련 사죄와 반성의 정신에 역행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일본 정부도 이에 동조하고 있다”는 우려도 전했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출범한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일본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 맞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민관 합동 TF는 단장인 이상화 외교부 공공외교대사 주재하에 4일 1차 회의를 개최하고 체계적이고 전방위적인 대응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TF에는 외교부와 문화체육관광부 등 7개 정부 부처와 3개 공공기관(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동북아역사재단,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국장급 간부들이 투입되며, 세계유산과 한·일 관계 등의 전문가 10여명도 참여한다.

외교부 당국자는 “전문가 자문과 관계기관 간 긴밀한 협업하에 교섭에 필요한 자료 수집과 분석 등을 면밀히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