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부인 김혜경씨의 ‘공무원 사적 심부름’ 논란에 ‘공금 유용’ 의혹까지 불거지자 3일 국민의힘은 맹공을 퍼부었다. 권영세 선거대책본부장은 “‘김혜경 방지법’이라도 나와야 할 것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혜경씨 논란이 커지면서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윤석열 후보 부인 김건희씨 녹취록 여파가 잦아들고 있다는 안도감도 감지된다.
권 본부장은 3일 선대본부-원내지도부 연석회의에서 “공무원에게 병원 문진표 대리 작성부터 약 대리 처방, 음식 배달, 속옷 정리, 아들 퇴원 수속 등의 심부름까지 시킨 김혜경씨의 불법 갑질 사례가 낱낱이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민과 국가를 위해 봉사해야 할 공무원을 몸종 부리듯 갑질을 했다”고 비판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이 후보가 성남시장 재직 시절 도입했던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김혜경씨에게도 적용하자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KBS 라디오에서 “이 후보가 성남시장일 때 공무원의 횡령에 대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했다”며 “김혜경씨의 공금 유용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에는 이 후보 본인이 말했던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비꼬았다.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BBS 라디오에서 “이런 형태로 도지사 살림을 살았다고 하면 나라 살림을 살 때는 어떡하겠느냐”고 반문했다. 김 원내대표는 “(김혜경씨가) 집에서 소고기를 먹고, 제사 지내는 데 필요한 음식을 사는 데 지방자치단체 예산을 개인적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라며 “어떻게 이렇게 황당할 수 있나”고 꼬집었다.
국민의힘은 선대본 청년본부 직속으로 ‘김혜경 황제 갑질 진상규명센터’를 설치했다. 진상규명센터는 사내 갑질 문화를 뿌리 뽑기 위한 ‘김혜경 방지법’을 대선 공약으로 만들 계획이다.
진상규명센터는 이날 당 법률지원단과 함께 김혜경씨를 직권남용, 강요, 국고손실, 의료법 위반 혐의 등으로 대검찰청에 고발했다. 유상범 법률지원단장은 “김혜경씨 사건은 갑질의 종합판이자 공권력 사유화의 대표적 사례”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김혜경씨 문제가 돌출하자 국민의힘에선 내심 안도하는 기류가 읽힌다. 아직 가시지 않은 김건희씨 녹취록 논란이 김혜경씨 이슈로 인해 가라앉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생긴 것이다.
선대본부 관계자는 “김건희씨 문제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이 후보가 윤 후보의 가족 리스크에 대해 적극적으로 공격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다만 김건희씨를 전면에 등판시키는 것에 대해선 여전히 선을 긋고 있다. 선대본부의 다른 관계자는 “공식 선거운동 때 김건희씨가 아예 안 나오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최대한 자숙하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드리는 것이 옳은 태도”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의 총공세에 민주당도 반격에 나섰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국민의힘의 김혜경씨 고발과 관련해 “김건희씨 수사부터 제대로 했으면 좋겠다”고 일침을 가했다.
송 대표는 KBS 라디오에서 김건희씨 녹취록을 언급하며 “(김건희씨가) 서울의소리 기자와 통화에서 ‘내가 권력을 잡으면’이라는 표현을 썼다”며 “‘윤 후보가 정권을 잡으면’도 아니고 ‘내가 잡으면’이라는 말 속에 모든 것이 함축돼 있다”고 비판했다.
이가현 이상헌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