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이번은 전면전…선거비, 가능한 범위에서 많이 쓸 것”

입력 2022-02-02 19:54 수정 2022-02-02 20:26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일 서울 양천구 CBS에서 열린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 후보와 양자 정책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2일 대선 선거비용과 관련해 “이건(이번 대선은) 전면전이기 때문에 가능한 범위에서 많이 쓸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CBS 주최로 열린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 후보와의 양자 정책토론회에서 김 후보가 “이번 선거비용을 얼마나 쓸 생각인가”라고 묻자 이같이 답했다.

이에 이 후보는 “아직 세부적으론 생각 못 했다”라면서도 “법률상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많이 쓸 생각”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의 지지율 박빙 상황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자 김 후보는 “대선 국고보조금의 폐해를 말하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거대 양당의 국고보조금으로만 1000억원 이상이 소요된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김 후보는 이어 “지금처럼 눈살 찌푸려지는 대선의 인건비 등을 보조금으로 지급하고 있는데 이것을 없애자”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40년간 권력을 주고받은 양당의 공생 관계를 깨야 한다”고 주장했다. 거대 양당에 집중된 정당보조금, 선거보조금 등 각종 보조금이 정치 신인의 진입장벽을 높이고 있다는 주장이다.

김 후보는 이어 ‘대선 바우처’ 제도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김 후보는 “유권자에게 5000원씩 바우처를 줘서 원하는 정당에 보내게 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 후보가 2일 서울 양천구 CBS에서 열린 양자 정책토론회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에 이 후보는 “대체로 공감하지만 정당보조금을 없애는 것이 해결책일지는 단정하기 어렵다”라고 반박했다. 선거 자금 마련을 위해 공천헌금을 받는 식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후보는 다만 ‘대선 바우처’ 제도에 대해선 “좋은 것 같다”면서 “고려해보겠다”고 답했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대 대선 후보는 1인당 최대 513억900만원까지 선거비용을 사용할 수 있다.

대선을 완주한 후보 중 15%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한 후보는 이 선거비용을 전액 보전받는다.

앞선 19대 대선에서 문재인 당시 민주당 대선 후보는 약 500억원 가량의 선거비용을 지출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