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부산 청년들의 삶 전반을 지원하는 ‘청년G(지)대’ 구축 계획을 수립한 데 이어 본격적인 사업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시는 탄탄한 청년G대 구축을 위한 다양한 청년 정책 사업이 청년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774억원 규모, 총 28개 사업을 본격 시작한다.
먼저 학자금 대출 장기 연체로 신용도 판단정보가 등록된 청년의 ‘신용회복지원사업’을 250명 규모로 수시 모집하고, 오는 18일까지 ‘부산 청년정책네트워크 구성원’을 모집한다.
지난달 참여 기업 모집을 마친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은 오는 11일까지 취업이나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의 신청을 받는다. 청년들에게 취·창업 활동비를 지원하는 ‘디딤돌 카드+’는 오는 21일까지 1차(550명) 접수를 진행할 예정이다. 복지비 100만원을 지원하는 ‘일하는 기쁨카드 사업’은 오는 7일부터 18일까지 참여 희망자 700명을 모집한다.
다음 달 이후에도 다양한 정책사업을 추진한다. 3월부터 청년들의 자립 기반 마련을 위해 매월 저축액에 대해 부산시가 1:1 매칭 지원하는 ‘부산 청년 자산형성지원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며, 지역 로컬크리에이터의 집중 성장 및 사업화를 지원하는 ‘부산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도 같은 기간 시행 예정이다. 4월에는 ‘디딤돌 카드+’ 2차(550명)와 150명 규모의 마음건강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할 계획이다.
또 5월에는 ‘임차보증금 대출이자 지원 사업’과 ‘전·월세 중개보수’ 지원사업과 ‘신용회복지원’ 사업을 시작하고, 6월에는 월 20만원씩 최대 24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 월세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청년 1인가구 안심 홈세트’ ‘청년행복박스’ ‘청춘드림카 ’ 사업도 지원을 펼칠 예정이다.
앞서 부산시는 일자리, 주거·생활, 문화·활동 참여·권리 등 4대 분야 121개 사업을 마련하고, 총 1959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다양한 청년 맞춤형 정책을 통해 탄탄한 청년G대를 구축하겠다고 선언했다. 청년G대는 청년 세대의 여건 악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미래 도약을 지원하는 맞춤형 정책이다. 아울러 시는 청년의 시정 참여를 확대하고자 청년과 밀접한 분야의 부산시위원회 청년위원 위촉범위를 확대해 청년 참여의 제도적 장치도 마련했다.
고미자 부산시 청년산학창업국장은 “정보 미스매치로 청년들이 혜택받지 못 하는 일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