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확산, 제주지역 일자리에 어떤 변화 가져올까

입력 2022-02-02 11:55 수정 2022-02-02 13:25

전기자동차의 급속한 확산은 기존 내연차 중심의 지역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제주도는 도가 신청한 ‘제주도 전기차 보급·확산정책이 지역 고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주제가 올해 고용노동부 고용영향평가 대상 과제로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고용영향평가제도는 국가 및 지자체의 주요 사업이 지역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적절한 보완 방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고용정책기본법에 따라 2010년부터 시행됐으며 올해 지방자치단체에선 제주도가 유일하게 선정됐다.

제주도는 2012년 오는 2030년까지 제주를 탄소배출 없는 섬으로 만들겠다는 ‘카본프리아일랜드 2030(Carbon Free Island)’ 비전을 수립하고 2013년부터 전기차 보급을 시작했다.

2021년말 기준 보급대수는 2만5571대로 도내 운행차량 대비 전기차 점유율은 6.4%(전국 평균 0.93%)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올해 도가 밝힌 예상 보급 대수는 5500대로 계획대로 달성될 경우 연내 전기차 3만대 시대를 연다.

도가 제주형 그린뉴딜의 핵심 과제로 2030년부터 내연기관 차량 신규 등록을 금지하기로 하면서 내연차 중심의 기존 제주지역 주유소와 정비업은 다른 지역보다 빨리 산업 사양화의 위기를 마주하게 됐다.

이에 따라 제주에선 자동차 후방산업의 일자리 전환이 지자체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번 고용영향평가 과제는 전문 연구진에 의해 올해 말까지 진행된다.

도는 연구 결과를 내연차 연관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상생협력 기본계획 등에 반영해 적극 추진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결과 보고서는 연구 완료 후 한국노동연구원 누리집에 게재될 예정이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