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조선인 강제노역’ 광산 세계유산 추천 정식 결정

입력 2022-02-01 17:23
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용 현장인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기로 결정한 28일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일본대사가 외교부 청사로 초치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일제 강점기의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佐渡)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기로 정식 결정했다.

1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열린 각의에서 사도 광산을 2023년 세계유산 등록을 목표로 하는 후보로 추천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사도 광산은 일제 강점기에 다수의 조선인이 동원돼 가혹한 노역을 강요받은 현장이다.

일본 정부는 추천서를 이날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한다. 일본 정부는 대상 기간을 에도 시대(1603~1867년)로 한정해 일제강점기 역사를 제외한 채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올리려는 방침이다.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의 사도 광산 세계유산 추천 움직임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유네스코에서 한국과 일본의 역사 논쟁이 격렬하게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양국 모두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내년 여름쯤 최종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교도통신은 “유네스코가 한국과 일본이 사도 광산 문제에 대해 양자 협의를 하도록 촉구하고 이로 인해 심사가 미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 정부는 ‘전방위적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 정부는 관계기관과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 합동 TF를 중심으로 국제사회와 적극 공조해 체계적이고 전방위적 대응을 시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외교부는 지난달 28일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공식화하자 관계기관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TF를 출범시켰다. TF를 통해 사도 광산 관련 자료 수집과 분석, 대외 교섭 및 홍보 등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TF 단장은 이상화 외교부 공공외교대사가 맡는다. 외교부와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교육부, 문화재청 등 관계부처와 유네스코 이슈에 대해 전문성과 경험 갖춘 전문가들도 참여한다.

정부는 강제노역 역사를 외면한 채 일본이 등재를 추진하는 것은 세계유산의 근본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세계유산위원회와 유네스코 등 국제사회의 공감을 얻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