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결국은… ‘강제노역’ 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천 강행

입력 2022-02-01 09:28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용 현장인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기로 결정한 지난 28일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일본대사가 외교부 청사로 초치되고 있다. 뉴시스

일본 정부가 일제 강점기의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佐渡)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기로 1일 정식 결정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열린 각의(閣議)에서 2023년 세계유산 등록을 목표로 하는 일본 후보로 사도 광산을 추천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사도 광산은 일제 강점기에 다수의 조선인이 동원돼 가혹한 노역을 강요받은 현장이다.

일본 정부는 추천서를 이날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할 방침이다. 일본은 대상 기간을 에도 시대(1603∼1867년)까지로 한정해 일제 강점기 역사를 제외한 채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올리려는 입장이다.

이에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추천하려는 것을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이다. 향후 유네스코에서 한국과 일본의 역사 논쟁이 격렬하게 벌어질 수밖에 없게 된 상황이다.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내년 여름에 최종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한일 양국은 모두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유네스코 자문기관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이코모스·ICOMOS)의 권고를 통해 내년 5월쯤이면 미리 결과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유네스코가 한국과 일본이 사도 광산 문제에 관해 양자 협의를 하도록 촉구하면서 심사가 미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