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사시부활”에… 尹 “그냥 주장해서 될 문제 아냐”

입력 2022-02-01 07:36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지난 28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디지털 지구 시대’ 대한민국 디지털 경제 비전발표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사법시험 제도의 일부 부활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대선 정국의 새로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 로스쿨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해온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법조인이 되는 길을 다양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면서도 “그냥 ‘사시 부활’ 이렇게만 주장해서 풀릴 문제는 아니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지난 31일 페이스북에서 “이재명 정부는 청년을 위한 3대 공정정책으로 계층이동 사다리를 확실히 보장하겠다”며 사시 부활, 정시 확대, 공정 채용 등 ‘청년 공정정책’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사시 일부 부활’을 언급하면서 “로스쿨과 병행해 예외적으로 학력 제한 없이 법조인이 될 수 있는 길을 열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검정고시 출신으로 법대에 진학해 사법고시를 통해 법조인이 됐다. 그는 기존에도 사시를 일부 부활시켜야 한다는 입장이었지만, 공식 공약으로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후보는 2017년 대선 때도 사시 존치 입장을 밝히며 당시 경선 경쟁자였던 문재인 대통령과 입장차를 보였다. 당시는 사시가 완전히 폐지되기 전 시점이었다. 문 대통령은 당시 “인제 와서 사시 부활보다는 로스쿨 제도를 발전시키는 게 필요하다”고 한 반면, 이 후보는 “젊은이에게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사법시험 존치로 입장을 전환하길 요청한다”고 맞섰다.

윤 후보는 사시 부활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그는 사시 부활 대신 현재 운영 중인 로스쿨 제도를 보완하는 게 필요하다고 본다.

윤 후보는 이날 경기도 안양소방서의 소방관들을 격려 방문한 뒤 취재진에게 “법조인이 되는 길은 다양하게 만들 필요가 있지만, 그냥 ‘사시 부활’ 이렇게만 주장해서 풀릴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공정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있는 제도를 갖고 잘 설계해야 한다”며 “로스쿨의 경우 등록금 등 공부하는데 드는 비용이 많다.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분들의 기회 보장을 위해서 장학금 등을 대폭 지원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로스쿨에서 1년에 2000명 이상씩 법조인 배출이 된다”며 이 후보가 사시 부활을 주장하려면 어느 정도 규모로 합격자를 배출할지 등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로스쿨을 유지하는 동시에 변호사가 될 수 있는 또 다른 제도를 만들어 사실상 사시 부활과 같은 효과를 내겠다는 청년정책 공약을 지난해 11월 발표했다. 로스쿨 졸업생에 준하는 자격을 갖췄는지 검증할 시험을 만들어 로스쿨을 가지 않아도 변호사시험을 응시할 자격을 준다는 게 골자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는 이 후보의 ‘사시 일부 부활’ 공약을 정면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페이스북에서 “노무현 정부의 계승을 자처하는 이재명 후보가 노무현 정부 사법 개혁의 핵심인 사시 폐지를 번복하는 것은 자기모순”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사시 부활론은 한 마디로 표를 의식한 전형적인 표퓰리즘일 뿐”이라며 “이 후보가 사시에 합격했던 1980년대를 부활시키면 청년에게 공정한 세상이 다시 올 것으로 생각하는 모양이지만 엄청난 착각”이라고 성토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