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퓰리즘 정권이 들어선 국가에서 코로나19 사망자가 훨씬 더 많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독일 싱크탱크인 키엘세계경제연구소의 미하엘 바이얼라인 연구원 등은 이날 ‘정치제도·경제 저널’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포퓰리즘 국가의 초과사망자가 비포퓰리즘 국가에 비해 배 이상이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과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42개국의 ‘초과사망률’을 비교해 각국 정부의 대응 능력을 평가했다. ‘초과사망’은 특정 시기에 통상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망 건수를 넘어선 추가 사망을 뜻한다.
연구진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집권했던 미국과 영국, 브라질, 체코, 헝가리, 인도, 이스라엘, 멕시코, 폴란드, 슬로바키아, 터키 등 11개국을 포퓰리즘 국가로 분류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팬데믹 첫해인 2020년 포퓰리즘 국가들의 평균 초과사망률은 18%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미국 등 11개국에서는 코로나19와 무관하게 100명이 사망하는 동안 코로나19로 18명이 추가 사망했다는 뜻이다. 이는 나머지 국가들 평균치(8%)의 배 이상이었다.
연구진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포퓰리스트 집권 국가에서 다른 나라들보다 시민들의 이동이 활발했다. 구글 데이터를 활용해 식료품점과 같은 특정 장소들의 방문자 수 등을 분석한 결과 포퓰리즘 국가의 시민들이 다른 국가의 시민들보다 최대 2배 더 많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포퓰리즘 정부들이 시민의 정상적인 생활을 방해하는 인기 없는 방역 정책 집행을 꺼린 탓이라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또 이들 정부가 바이러스의 심각성을 경시하거나 과학자들의 신빙성을 떨어뜨리려는 의도의 발언을 많이 내놓은 것도 원인이라고 밝혔다.
바이얼라인 연구원은 “수치로 볼 때 포퓰리스트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최악의 위기관리자였다”며 “그들에게 피할 수 있었던 많은 죽음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사실은 명백하다”고 말했다. 이어 “높은 초과사망률은 높은 이동성을 따라가는데, 이는 곧 방역 규제의 부족과 반 코로나19 선전에서 비롯된다”며 “이동과 사망자 사이의 분명한 연관성은 사람들이 전염병 동안 자발적으로 거리두기를 시행함으로써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에서 포퓰리즘 사회는 “두 개의 동질적이면서 적대적인 집단으로, ‘순수한 시민’과 ‘부패한 지배층’으로 각각 구분된 사회이면서 정치는 국민의 일반적 의지를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회’로 정의됐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