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선 후보가 연일 정치 쇄신안을 내놓고 있다. 이 후보 지지율을 ‘상승 모드’로 돌려놓기 위한 몸부림이다.
그러나 정작 민주당 내에서는 후속 움직임이 뒤따르지 않아 이 후보 측이 속을 태우고 있다. 오히려 ‘86(80년대 학번·60년대생) 용퇴론’을 놓고 당내 갈등 조짐이 엿보인다.
이 후보 측근 그룹인 ‘7인회’의 임명직 포기 선언에 이어 송영길 당 대표가 차기 총선 불출마 카드를 꺼내 들었다.
그러나 26일 민주당에서는 중진 의원들의 추가 불출마 선언은 나오지 않았다. 쇄신의 신호탄은 쏘아 올렸는데, 후속탄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 후보 측은 자칫 쇄신 흐름이 조기에 끊어질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 기자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 눈높이에 맞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도 “특정인의 정치 은퇴는 제가 감히 직접 요구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기 때문에 국민 의견을 모아가며 할 수 있는 방안을 계속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선대위 고위 관계자는 “이 후보와 송 대표만 사과하고 불출마를 선언하면 무슨 효과가 있겠느냐”고 의원들의 릴레이 불출마 선언을 촉구했다.
이 후보와 가까운 의원도 “우리 당에 고령 의원들이 많다 보니 국민의힘보다 더 보수화됐다고 느끼는 국민이 적지 않다”며 “설 연휴 전에 다선 의원들 중 몇 분이 불출마를 선언해주면 (쇄신) 흐름이 이어질 것 같다”고 기대했다.
하지만 중진 의원들의 불만도 만만치 않다.
한 중진 의원은 “지금의 정권심판론을 촉발한 것은 부동산 정책 실패와 ‘조국 사태’ 때문”이라며 “임대차 3법이나 ‘조국 수호’에 앞장섰던 강성 초·재선 의원들은 왜 사과조차 하지 않느냐”고 주장했다.
‘86 용퇴론’을 놓고 논쟁도 벌어졌다.
‘86 용퇴론’을 가장 먼저 꺼냈던 김종민 의원은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본인도 86세대인데, 용퇴하겠느냐’는 질문에 “(정치인 개인의) 용퇴가 핵심이 아니다”라고 한발 물러섰다.
김 의원은 이어 “(86 정치인들이) 물러나든 안 나든 ‘86 정치’가 용퇴해야 한다는 게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자 김우영 선대위 대변인은 김 의원을 겨냥해 “이런 걸 요설이라 하는 것”이라며 “차라리 말을 하지 말든지, 이러쿵저러쿵 변명은 쓸데없는 짓”이라고 비판했다.
동일지역 3선 초과 연임 금지 방안을 놓고도 여진이 계속됐다. 한 수도권 의원은 “벌써 지역에서는 ‘다음에 출마도 못 할 사람이 왜 왔느냐’는 사람도 있다”며 “너무 경솔했다”고 말했다.
최승욱 안규영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