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민주당, 차기 당대표 선거서 ‘대의원’ 힘 뺀다…“국민 의견 더 반영”

입력 2022-01-26 05:05 수정 2022-01-26 05:05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해 12월 9일 서울 마포구의 한 공연시설에서 열린 정당혁신추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더불어민주당 정당혁신추진위원회가 민심과 당심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차기 지도부 선출 과정에서 대의원 표결 비중을 줄이고, 당원과 국민들의 비중은 높이는 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혁신위 관계자는 25일 “일반 국민의 의견을 더 많이 반영하기 위해 대의원의 표결 비중을 줄이는 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그동안 당대표·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서 대의원에게 45%, 권리당원 40%, 일반 당원 5%, 국민 여론조사에 10%의 가중치를 부여해 선거를 치러왔다.

송 대표가 선출된 지난해 5월 전당대회에서는 대의원 1만5000여명과 권리당원 68만여명이 투표권을 가졌다. 여기에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가중치를 부여하면 대의원 1표는 권리당원 60표와 비슷한 가치를 갖는다.

혁신위 관계자는 “대의원에서 줄인 비중으로 일반 당원·국민 여론조사와 권리당원 표결 비중을 높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의원은 대부분 현역 의원인 지역위원장이 선임하는 것이 대체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의원의 표결 비중이 높을수록 현역 의원과 원외 지역위원장 등 기존 정치권 인사의 입김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때문에 청년 정치인이나 정치신인의 중앙정치 진입 장벽이 높아진다는 지적이 많았다.

혁신위의 결정은 민주당도 국민의힘처럼 30대 청년 당대표를 당선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뜻이다. 또한 그간 지적받았던 ‘당심과 민심의 괴리’를 줄이려는 목적도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심과 민심을 일치시키겠다는 혁신위의 의도는 이해하겠지만, 자칫하면 왜곡된 민심에 당이 끌려가는 상황이 전개될 우려도 있다”며 “오랜기간 당에 헌신해 온 대의원들의 박탈감에 대한 고려도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