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 7500명대… 오미크론 국내 검출률 50%, ‘우세종’ 됐다”

입력 2022-01-24 08:35 수정 2022-01-24 10:31
지난 23일 오후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 검사소에 시민들이 검사를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의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오미크론이 국내 코로나19의 우세종이 됐다는 의미다. 정부는 오미크론 우세 지역 대응과 함께 일반 의료기관 중심의 의료체계 전환을 빠르게 시행할 방침이다.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2차장 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24일 오전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모두발언에서 “경기와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오미크론 감염자가 급증하면서 국내 검출률이 약 50% 수준에 이르고 있다”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1월 3째주(1.17~23) 오미크론 변이의 국내 검출률은 50.3%를 기록했다.

아울러 전 2차장은 “오늘 확진자 수는 7500명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강한 전파력을 가진 오미크론의 영향으로 지난주(1.17∼23)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5962명을 기록하며 전주 대비 50%가량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오미크론 확산세의 영향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주말부터 연일 70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2일 7009명, 23일 7630명을 기록했다.

전 2차장은 다만 “위중증 환자 수는 410명대까지 낮아졌고, 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20%를 밑도는 등 전반적 의료 대응체계는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확진자 증가세가 더욱 커질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오미크론 우세지역에 대한 효과적 대응에 힘쓰는 한편 일반 의료기관 중심의 의료체계 전환도 빠르게 시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확진자 규모 통제보다는 중증·사망 최소화를 목표로 전국 보건소 선별진료소의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고위험군 환자를 중심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또 위험도가 낮은 일반 국민에 대해서는 선별진료소에서 검사키트를 활용한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전 2차장은 “특히 오미크론이 우세한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4개 지역에서는 이달 26일부터 선별진료소와 호흡기 전담클리닉을 통한 신속항원검사를 우선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재택치료자 관리체계도 더 효율화하겠다”며 “26일부터는 접종 완료자에 한해 관리기간을 현행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여 운영하고, 건강모니터링 횟수를 축소하는 방안도 추가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일일 확진자 규모가 더욱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도 대비해 지자체 ‘관리의료기관’을 1월 말까지 400개 수준까지 확대해 최대 6만명의 재택치료자를 감당할 수 있도록 하고, 외래진료센터는 2월 중순까지 현재의 두 배 규모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동네 병·의원에서 코로나 검사는 물론 치료와 처방, 재택치료 관리까지 한번에 이뤄질 수 있도록 검사·치료 체계를 전환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주말부터 시작되는 설 연휴에 대해서는 전국 주요 고속도로 휴게소 7곳과 KTX 역사 및 버스터미널 2곳에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하고 선제 검사를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