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이틀 연속으로 7000명대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앞서 정부가 ‘오미크론 대응 방역·의료 체계’의 기준점으로 내세운 7000명을 돌파했다. 당초 정부가 예상한 ‘7000명 기준선’ 도달 시점은 26일이었다. 예상보다 나흘 빨리 기준선을 넘어선 셈이다.
문제는 7000명대에 도달하면 오미크론 대응단계로 전환한다던 정부가 말을 바꾼 점에 있다. 정부는 앞서 “기계적 적용은 아니다”고 한 번 말을 바꿨고, 실제 7000명대에 도달했지만 곧바로 대책을 내놓지는 않았다. 일단 정부는 오미크론 위기 지역인 광주·전남·평택·안성 지역에 한해 새로운 검사·치료 체계를 우선 적용할 방침이다.
23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630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숫자다. 지난 22일 확진자는 7009명이었다. 이틀 연속 7000명대를 돌파했다.
이번 확진자 통계를 분석하면 오미크론의 강세가 나타난다. 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16~19일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은 47.1%로 확인됐다. 23일 발표된 1월 3주(16일~22일)차 주간 일평균 확진자는 5471명이었다. 전주 3854명에 비해 1617명 늘어났다. 지난 주말 수치를 기준으로 보면 오미크론 검출률이 50%대를 넘어선 것이다. 정부는 내주 확진자 수가 1만명대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의 대응은 갈지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지난 14일 ‘오미크론 확산 대비 방역·의료 대응체계 전환 준비’ 방안을 발표하면서 대응체계 전환 기준을 하루 확진자 7000명으로 언급했다.
당시 이기일 제1통제관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하루 확진자가 한 번이라도 7000명 선을 넘으면 오미크론 맞춤형 방역 체계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이 통제관은 “7000명이 되면 오미크론이 50%가 안 된다 하더라도 바로 실행할 계획”이라며 “7000명이 되게 되면 오미크론 특성상 바로 8000명에서 9000명, 만명까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0일에는 톤이 달라졌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6601명으로 7000명대에 육박했다. 당시 손영래 중대본 사회전략반장은 “기계적으로 7000명이 됐다고 해서 적용하는 건 아니다. 그 수준에 다다르게 되면 전환 시점을 정하겠다”고 했다. 오미크론 대응 체제 전환에 있어 신중한 입장을 보인 것이다.
정부는 지난 주말 이틀 연속 7000명대 확진자가 나왔지만 오미크론 대응 체계로 전격 전환을 발표하진 않았다.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을 준비하면서 일단 상황을 지켜볼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오는 26일부터 오미크론이 강세를 보이는 광주·전남·평택·안성 지역에 새로운 코로나 검사·치료 체계를 적용한다.
이에 따라 보건소나 임시선별검사소에서 해온 PCR 검사는 반드시 검사가 필요한 고위험군(밀접접촉자, 60세 이상 고령층, 신속항원검사 양성 확인자)에 국한해 실시한다. 그밖에 일반 국민은 선별진료소에서 무료로 나눠주는 자가검사키트로 검사하거나 동네 호흡기전담클리닉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먼저 받게 된다. 여기서 1차 양성이 나오는 경우에만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호흡기전담클리닉을 이용할 경우 검사비는 무료이고, 진찰료 30%인 5000원은 환자가 내야 한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