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화정아이파크 외벽 붕괴사고 13일째인 23일 고층부 수색작업이 24시간 체제로 전환됐다. 타워크레인 해체 작업이 대부분 마무리되고 옹벽 등의 붕괴위험도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이용섭 사고수습통합대책본부장(광주시장)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타워크레인에 매달려 있던 27t짜리 콘크리트 무게추와 55m 붐대(크레인 팔)를 안전하게 제거하고 와이어(강철 쇠줄) 보강이 완료됨에 따라 타워크레인이 무너질 위험성이 크게 낮어졌다”고 밝혔다. 또 고층부 외벽에 매달려 있던 남쪽 1개와 동쪽 3개의 거푸집도 제거했다고 덧붙였다.
이 본부장은 고층부 층별 슬래브를 받치는 책서퍼트와 철재빔 보강작업을 구조작업과 병행 실시하는 등 24일부터는 소방청과 현대산업개발이 긴밀한 협업체계를 유지하면서 수색·구조 작업을 24시간 속도감 있게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수색·구조대가 교대로 번갈아가면서 24시간 상시 투입된다는 것이다.
대책본부는 이날 붕괴지연된 타워크레인 해체와 고층부 수색작업에 집중했다.
광주시와 소방청 등이 참여한 사고수습통합대책본부는 오전 6시45분부터 200여명의 구조대원, 구조견 5마리, 장비 50여대를 동원한 수색작업에 들어갔다. 추가 붕괴 관측조, 안전보건팀 등이 동참한 수색작업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22층 이상 고층부에 집중됐다.
타워크레인 해체 전 단계인 고층부 거푸집 제거작업은 전날 밤 10시까지 진행됐으나 실종자 흔적은 더 이상 찾지 못했다.
대책본부는 타워크레인 해체작업 도중 고층부 거푸집을 떼어낸 과정에서 콘크리트 잔해 등 연결된 자재들이 잇따라 추락하자 실종자 수색작업을 수차례 중단했다. 이로 인해 전날 오후 마칠 예정이던 거푸집 제거는 야간작업으로 이어졌다.
전체 공정 70% 수준까지 진행된 타워크레인 해체작업은 애초 21일 마무리할 예정이었다가 건물 외벽 균열과 콘크리트 구조물 붕괴로 이틀 지연됐다.
대책본부는 전문가 회의를 거쳐 효율적 타워크레인의 해체순서를 다시 점검할 예정이다. 타워크레인이 철거되면 수색범위가 넓어지고 수색대원들의 안전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대책본부는 회의결과에 따라 타워크레인을 해체하고 외벽 안정화 작업과 낙하물 방지망 설치 등 추가 안전조치를 거치게 된다.
소방청은 수색작업에 동원된 중앙119구조본부, 광주소방안전본부 구조대원들과 함께 해외 재난현장에 파견돼 구조활동 전문 구조대원 14명 등에 대한 전국 소방력 동원령을 발령했다. 전문 구조대원은 서울 부산 경기 전남 전북 충남 경남 소방본부 속속 각 2명이다. 붕괴사고 전문 구조대원 43명과 특수구조대원 414명도 현장상황에 따른 출동 대기 중이다.
중동 3개국 순방을 마치고 22일 귀국한 문재인 대통령이 정부가 주도적 역할을 하는 광주 붕괴사고 대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한 것을 계기로 중앙정부 차원의 수습대책 기구도 24일 꾸려질 예정이다. 지자체 차원의 대책본부로는 신속한 구조와 복구에 행정적 재정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앞서 붕괴사고 자문단은 정부 차원의 대책마련을 제안한 바 있다. 광주시가 주축이 된 대책본부는 그동안 재난상황관리, 통신·시설 등 응급복구, 교통·환경지원, 자원봉사 등 4개 분야로 운영됐으나 중앙정부와의 실시간 협력체계에는 한계를 느껴왔다.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본부가 새롭게 구성되면 엄청난 양의 콘크리트 잔해가 부러진 철근 등과 뒤엉켜 그동안 더디게만 이뤄지던 수색작업이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예산지원 증액을 위한 특별재난지역 지정 논의도 진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고용노동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국토교통부 등 각 부처별 차관, 소방청, 경찰청 간부들이 배치돼 긴밀한 현장상황을 공유하고 실종자 수색가 구조, 피해 복구를 총괄하는 대책본부가 곧 활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