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유일하게 국립묘지가 없는 강원도에 국립묘지가 들어선다.
강원도와 국가보훈처는 20일 오전 강원도청에서 ‘강원권 국립묘지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식(사진)을 했다.
이에 따라 보훈처는 강원권 국립묘지 입지선정 타당성 및 기본구상 연구용역에 착수한다. 국립묘지는 2028년까지 2만기 규모로 조성한다. 봉안시설과 현충탑, 현충관, 관리동 등 부대시설이 함께 들어선다.
또한 보훈처는 국립묘지 조성 과정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지역주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도는 인허가 등 행정지원 협조, 도로·하천 등 기반시설 구축에 나선다.
앞서 도는 지난해 11월 횡성과 영월, 양구군으로부터 강원권 국립묘지 유치제안서를 접수했다. 보훈처는 이를 토대로 오는 7월까지 입지선정 타당성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부지 적격성 평가를 통해 10월쯤 국립묘지 조성 부지를 선정한다. 이후 설계 및 인허가 용역을 거쳐 2026년 착공 후 2028년 하반기에 문을 연다는 계획이다.
국립묘지는 현충원 2곳, 호국원 6곳, 민주묘지 3곳, 대구 신암선열공원 등 전국 12곳에 조성돼 있다. 오는 2025년에는 연천현충원이 추가로 문을 연다. 제주도를 비롯해 수도권과 충청권, 경기권 등 모든 권역에 국립묘지가 들어서 있으나 강원도에는 유일하게 국립묘지가 없다.
도내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들은 강원도에서 가장 가까운 경기도 이천호국원을 이용해 왔다. 그러나 2017년 4월 만장이 된 이후에는 충북 괴산이나 경북 영천, 전북 임실 등 먼 거리에 있는 국립묘지를 찾거나 개인묘지에 안장됐다. 현재 6·25 및 월남 참전용사 등 도내에서 거주하는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는 1만8000여명에 이른다. 이들은 고령화 탓에 해마다 800여명이 세상을 떠나고 있어 국립묘지 조성이 강원도가 빨리 풀어야 할 과제였다.
강원도 보훈단체협의회 김진승 회장은 “강원지역 참전용사들은 삶의 터전에 안장되기를 간절히 원해왔고, 유가족들도 가까이에서 모실 수 있기를 희망해왔다”며 “호국원이 강원도에 생기게 돼 정말 기쁘다”고 말했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호국원 설립 지원과 더불어 국가유공자 장례의전 사업 등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의 생애 마지막까지 예우를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