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구성원 2명 중 1명은 학내에 심각한 차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다양성위원회와 사회발전연구소는 17일 ‘서울대 다양성 환경조사’ 보고서를 통해 학내 차별 인식 정도를 밝혔다. 응답자들은 특히 출신 학교와 성별로 차별을 받았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는 지난해 10~11월 서울대 구성원 219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서울대 학부생, 교수, 직원 등 구성원의 49.8%는 학교 내에 심각한 차별 문제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5년 전인 2016년 조사(74.6%) 때보다는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실제로 차별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36.8%였다. 직원(47.9%)이 가장 많았고 이어 교원(40.5%), 학부생(33.3%), 대학원생(32.7%) 순서였다.
구성원들은 차별을 당한 원인으로 출신 학교와 성별을 꼽았다. 전체 응답자 중 43.2%는 출신 학교 문제로, 40.1%는 성별 때문에 차별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전공에 대한 차별도 36.6%나 됐다.
출신 학교 문제로 차별을 당했다는 응답은 ‘비서울대’ 출신이 섞인 대학원생과 교원 집단에서 비율이 높았다. 대학원생 중 53.1%, 교원 중 46.3%가 출신학교로 차별당했다고 답했다.
학부생은 성별로 차별당했다는 응답(47.1%)이 가장 많았다.
보고서는 “5년 전보다 학내 차별 문제가 나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면서도 “추후 출신학교, 성별에 따라 발생하는 불이익 혹은 차별의 구체적인 내용을 조사하고 해결할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김미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