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18일 디지털·에너지·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모두 30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기업인들을 만난 일정에서는 “규제 합리화가 정부의 첫 번째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친기업’ 행보를 이어간 것이다. 그러나 유연근로제를 확대해달라는 기업인들의 요구엔 난색을 보이기도 했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자리 대전환 6대 공약’을 발표했다. 지난 11일 신경제 비전인 ‘이재노믹스(이재명·이코노믹스 합성어)’, 12일 산업분야 공약을 내놓은 데 이어 다시 한번 경제 비전에 힘을 실은 것이다.
이 후보는 먼저 디지털 대전환을 위해 국비·지방비·민간자금을 포함한 135조원을 조성해 인프라 투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해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삼고, 사회서비스 직종의 처우 개선을 통해 일자리를 늘리겠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특히 사회서비스 일자리 공약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유승민 전 의원의 공약을 실사구시 입장에서 과감히 수용했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더 좋은 나라를 만들려면 진영논리에 빠져 유효한 정책·인사를 놓쳐서는 안 된다”면서 “그게 통합정신”이라고 설명했다. 중도·보수 표심을 의식한 포석이다.
이 후보는 청년 일자리 정책과 관련해선 임기 내 청년 고용률 5% 포인트 향상을 목표로 내걸었다. 또 기획재정부를 개편해 일자리 전환의 컨트롤타워로 만들겠다는 구상도 내놓았다.
기업 육성 계획과 관련해선 국가대표 혁신기업 3000개, 유니콘 기업 100개, 다수의 데카콘(기업가치 100억달러 이상) 기업 육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50조원의 K-비전펀드 조성, 10조원 벤처투자, 배당소득을 분리 과세하는 국민참여형 벤처투자펀드 조성 등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이후 중견기업인들을 만나 규제 합리화를 약속했다. 그는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중견기업연합회 간담회에서 “기업들이 창의와 혁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정부의 첫 번째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국민연금이 ‘스튜어드십 코드(의결권 행사 지침)’에 따라 기업 경영에 과도하게 개입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과거처럼 아무런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고 방치하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다만 권한을 합리적으로, 적정선에서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남녀 임금 격차 완화 방안도 발표했다. 그는 서울 마포구 누리꿈스퀘어에서 여성·가족 분야 5대 공약을 내놓으며 “공공분야에 ‘고용평등 임금공시제’를 도입하고 단계적으로 민간 분야에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기업의 유리천장을 깨기 위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지표에서 성별 다양성 항목의 비중을 높이고, 공적연기금의 ESG 투자 고려 요소에 성평등 관점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