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 건조한 날씨로 산불 발생 빈도가 예년 수준을 훌쩍 뛰어 넘자 산불 유관기관이 총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산림청은 국가위기관리센터와 행정안전부, 지자체 등 37개 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18일 2022년 전국 산불안전관계관 화상회의를 진행했다.
각 기관은 올해 산불방지 종합대책과 유관기관 등의 산불방지 추진 대책을 점검하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또 산불조심기간 전 중앙·지역 산불방지대책본부의 비상 가동, 원인별 맞춤형 산불예방, 산불 발생 시 신속한 현장대응, 유관기관 협력, 산불 경각심 고취 등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세부적으로 중앙·지역 산불방지대책본부를 가동하는 한편 초동대응을 위해 산불대응센터를 110곳 운영하고, 22곳을 신규 설치하기로 했다. 또 산불방지인력 2만2000명과 산불 지휘차량 334대를 활용해 대비태세를 구축한다.
입산자 실화예방을 위해 222만㏊에 달하는 산불 취약지 관리를 강화하고 농·산촌 불법소각을 막는다. 특히 대형 산불 취약지인 강원 동해안은 스마트 CCTV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다.
산불이 발생했을 경우 산불진화헬기 117대를 전국에 분산 배치하며 소방·군 헬기와의 공조도 강화한다. 겨울철 갈수기의 진화용수 확보를 위해 담수지 3600여곳의 관리도 강화한다.
유관기관과의 산불대응 공조도 강화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재난안전총괄부서로서 재난문자·재난방송 및 유관기관의 인력과 장비를 지원하는 한편 국방부는 산불 위험이 높은 시기 전에 사격훈련을 완료한다.
소방청은 지도로 산림주변 주택 등 산불 취약지 주변을 파악해 인명 및 시설물 피해예방에 주력한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기후변화로 산불이 연중화·대형화하는 추세여서 상시 예방·대응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산불재난 대응의 성패는 유관기관,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조 여부에 달려있다. 산불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