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최근 붕괴 사고가 발생한 화정아이파크 현장을 점검했지만 부실시공을 걸러내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 공동주택 품질 점검단은 붕괴 사고가 발생하기 48일 전인 지난해 11월 25일 화정아이파크 현장을 점검했다. 점건단은 현장을 방문하고도 붕괴 징후를 알아차리지 못해 형식적인 점검에 그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시 점검단이 현장을 방문했을 때는 공교롭게도 23∼38층이 무너진 201동은 22층까지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였다. 기술사나 건축사, 전문가, 입주 예정자, 현장 관계자들은 점검에서 30여건을 자문·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고 내용 대부분은 지하 주차장 에폭시 접착, 외부 석재 마감, 창호 주변 코킹(틈 메우기) 등을 보완 또는 강화하라는 내용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공용 부분은 전문가들이 점검하고 전유부분은 2∼3곳을 표본으로 정해 육안 조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반적으로 품질 점검은 300세대 이상 아파트를 대상으로 사용 검사 전 구청의 요청을 받아 이뤄진다. 점검의 주된 목적은 사전에 하자나 부실시공 여부를 확인하고 보수해 입주 예정자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이번 사고는 시공 상태를 점검한 지 50일도 되지 않아 대형 사고가 터져 점검의 실효성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광주시 관계자는 “품질 점검은 벽지 들뜸, 결로, 누수 등 입주자들이 느끼는 불편과 하자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며 “아직 붕괴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현재 거론되는 공사 절차 미이행, 콘크리트 타설 강도 미확보 등 문제는 규정상 시공·감리 과정, 그와 관련한 점검에서 이뤄진다”고 밝혔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