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한 연구팀이 마스크를 쓴 이성을 더 매력적으로 인식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카디프대 연구진은 마스크 착용자에 대한 호감도를 두 차례 조사했다.
이들은 지난해 2월 여성 43명을 대상으로 마스크를 쓰지 않은 남성, 천마스크를 쓴 남성, 파란색 일회용 덴털마스크를 쓴 남성, 검은색 책으로 얼굴 하부를 가린 남성 등의 사진을 보여준 뒤 1부터 10까지 매력도를 평가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마스크를 쓴 남성을 더욱 매력적으로 평가했으며, 그중에서도 덴털마스크를 쓴 남성에 대한 매력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클 루이스 박사는 얼굴 좌나 우 절반을 가리면 뇌가 가려진 부분을 채우면서 전체적인 인상을 과장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언급하며, 이번 연구 역시 과장을 일삼는 뇌의 작동원리가 이유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마스크를 쓰면 사람들의 시선이 눈에 쏠리는데, 이때 뇌가 포착되지 않는 얼굴의 다른 부분들을 메우면서 전체를 과대평가한다는 것이다.
루이스 박사는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한 점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팬데믹은 우리가 마스크 착용자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심리를 변화시켰다”며 “더 이상 마스크를 쓴 사람을 보고 ‘질병이 있으니 피해야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진화심리학과 어떻게 파트너를 선택하는지와 관련 있다”며 “예전에는 질병이 있을 것 같은 배우자는 선택하지 않았던 것과 달리 이제 마스크를 오염 단서로 여기지 않는 쪽으로 심리가 변화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의료용 마스크 착용자가 천 착용자보다 매력적으로 다가온 이유에 대해서는 의료진에 대한 호감도와 연관된다고 설명했다.
루이스 박스는 “사람들이 푸른 마스크를 쓴 의료진에게 익숙하다”며 “위험하다는 생각이 들 때 의료용 마스크를 보면 안심이 되기 때문에 의료용 마스크 착용자가 더 긍정적 느낌을 준다”고 주장한다.
연구팀은 남성 참가자를 상대로 같은 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체로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인지 연구: 원리와 함축’(Cognitive Research: Principles and Implications)에 게재됐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