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가 사랑했던 대한민국 하늘에서 편안히 잠드시게.”
지난 11일 임무 수행 중 F-5E 전투기 추락사고로 순직한 조종사 심정민(29) 소령이 14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영면에 들었다.
공군은 이날 오전 경기도 수원 제10전투비행단에서 영결식을 엄수한 뒤 대전현충원 7묘역에서 심 소령의 안장식을 거행했다. 깊은 슬픔에 빠진 유족과 박인호 공군참모총장을 비롯한 공군사관학교 64기 동기생, 동료 조종사들과 부대 장병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통한 분위기 속에서 안장식이 진행됐다.
안장식 내내 흐느끼던 유족들은 고인에게 작별을 고하다 끝내 슬픔을 참지 못한 채 통곡했다. 결혼한 지 2년여만에 남편을 잃은 부인은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로 비탄에 빠져 주위를 더욱 안타깝게 했다.
유족에 이어 헌화와 경례로 작별 인사를 건네던 동료 조종사와 장병들도 비통함을 감추지 못한 채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
앞서 이날 오전 경기도 수원 제10전투비행단에서 진행된 영결식은 서욱 국방부 장관과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부대장으로 치러졌다.
유족들은 영결식이 진행되는 내내 울음을 멈추지 못해 장내를 숙연하게 했다.
장례위원장을 맡은 박대준 제10전투비행단장은 조서에서 “고인은 사흘 전 대한민국 하늘을 지키기 위해 비행에 나섰다가 눈 앞에 보이는 민가를 벗어나기 위해 조종간을 놓지 않았다”며 “자신이 사랑하는 전투기와 함께 무사귀환 대신 푸른하늘의 별이 됐다”고 추모하며 눈물을 훔쳤다.
순직한 심 소령의 동기생 회장인 김상래(29) 대위가 동기생을 대표해 추도사를 낭독했다.
김 대위는 “정민아, 어제는 우리가 성무대에서 10년 전 처음 만난 날이었다. 우리는 사관생도가 되고 멋진 조종사가 되겠다며 유난히 추웠던 그 겨울날을 이겨냈다”며 “너의 빈자리가 크게 느껴진다. 네가 나타날 것만 같다. 끝까지 조종간을 놓지 않았던 너처럼 우리도 임무를 다하겠다. 내 친구 정민아 사랑한다”고 말했다.
심 소령이 조종하던 F-5E는 지난 11일 오후 1시43분쯤 수원기지에서 이륙 후 상승하던 중 항공기 좌우 엔진 화재 경고등이 켜지고 기체가 급강하했다.
심 소령은 당시 관제탑과 교신에서 두 차례 탈출을 선언하고 비상탈출 절차를 준비했지만 끝내 탈출하지 못했다.
전투기는 주택이 몇 채 있는 마을과 불과 100m 남짓 떨어진 곳에 추락했고 심 소령은 부서진 전투기 동체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공군은 심 소령이 민가 쪽으로 전투기가 추락하는 것을 막고자 조종간을 끝까지 놓지 않고 야산 쪽으로 기수를 돌리면서 비상탈출 시기를 놓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공군은 고인의 계급을 대위에서 소령으로 추서했다.
원태경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