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층 높이에서 주민이 돌덩이나 핀에 맞게 된다면 심각한 상황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외벽이 붕괴하는 사고로 실종된 6명의 근로자를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이뤄지는 가운데 지난해 여름 이미 위험 징후에 대한 경고가 나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광주 서구의회 속기록에 따르면 정우석 더불어민주당 서구 의원은 지난해 7월 9일 의회 5분 발언대에 서서 화정동 현대아이파크 신축 공사장 주변에서 제기된 각종 위험 징후들을 세세하게 짚었다. 그는 이날 “주민들은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는데 행정청의 문제 인식이 있는지 그간의 대응이 의심스럽다”며 서구청의 미온적 대응을 질타했었다.
앞서 공사 현장 문제를 지적해온 정 의원은 이날도 “주택과에 문제해결을 맡겨 달라는 의견을 존중했지만 문제 해결 의지는 보이지 않는 듯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제보받은 사진을 공개하면서 “공사 기간 현장에 떨어진 물체”라고 설명했다. 그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 성형을 위해 폼을 결속하는 핀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양생 후 폼 해체 시 낙하한 것으로 보이는 콘크리트 파편이다”라며 “현장의 답변은 ‘낙하물로 특정할 수 없다. 우리는 모른다’였다고 주민들은 주장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현재 20층 정도 시공됐는데 이 정도 높이에서 이런 돌덩이나 핀에 맞는다면 심각한 상황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며 “차량이 파손되고 언론에 특필된 뒤에야 서구청이 개입할 생각인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주민들은 균열이 생기고 침하, 누수되는 건물에서 생존권 위협에 매일 불안 속에 살아가고 있다”며 “‘서구청이 서구민 편인지, 시공사 편인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는 주민 호소에 공감이 된다”고 했다. 이어 “건축 승인 조건을 지금껏 이행하지 않는 현장이 이후로도 개선되지 않는다면, 원칙대로 준공 허가를 내지 않을 거라 믿겠다”고 말했다.
화정아이파크 공사 현장에서 접수된 민원은 2019년 5월 착공 때부터 올해 1월까지 324건이었다. 이에 서구청이 내린 행정 처분은 27건이었다. 이 중 과태료 부과 처분은 14건으로 총액은 2260만원이었다. 서구청 민원 대응이 안일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앞서 지난 11일 오후 3시46분쯤 광주 서구 화정동 현대아이파크 신축 현장에서는 201동 39층 옥상 타설 작업 중 23~38층 바닥 슬래브와 외벽 일부 등이 무너져 내렸다. 이 사고로 현재까지 3명이 구조됐고 그중 1명은 잔해에 다쳤다. 6명은 연락이 끊겨 수색 작업이 진행 중이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