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2일 문재인 대통령의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석에 대해 “현재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문 대통령의 올림픽 불참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우리 정부는 베이징 올림픽이 2018년 평창,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이어지는 릴레이 올림픽으로서 동북아와 세계 평화, 번영 및 남북관계에 기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는 기본 입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관례를 참고해 적절한 대표단이 파견될 수 있도록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이 올림픽 불참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은 방중으로 인한 득보다 실이 크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미국이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올림픽을 계기로 한 종전선언은 무산됐다. 북한도 올림픽 불참을 공식화했다. 미국과 북한의 공백으로 문 대통령이 중국 방문을 통해 거둘 수 있는 외교적 실익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청와대 내부에선 문 대통령이 올림픽에 참석할 경우 중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또 올림픽 참석을 강행했다가 아무 성과 없이 귀국할 경우 대선을 앞두고 여론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지적도 있었다고 한다.
다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달 넷째주 개최가 유력한 한·중 화상 정상회담에서 갑자기 문 대통령에게 올림픽 초대장을 내밀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월 말 비대면 정상회담 개최에 관련해서는 결정된 사항은 없다”면서도 “정상 간 교류의 중요성을 감안해 양측이 소통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중 양측은 정상 등 각급에서의 교류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며 “코로나19 어려움 속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 나가자는 공감대를 갖고 있어 관련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