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구축·공개한 공공데이터가 실제 공공기관에서 쓸만한 데이터가 크게 부족할 뿐만 아니라 기업 대부분에게 외면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가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부산연구원가 발표한 ‘부산형 데이터 댐 기반 데이터 산업 육성 방안’ 보고서를 보면 부산 기업 10곳 중 9곳(87%)이 부산시 공공데이터 활용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예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에 대해 ‘모른다’고 응답한 기업 비율만 57.9%에 달했다. 이는 부산연구원이 최근 부산지역 기업 107개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 산업 활성화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됐다.
이 때문에 설문 참여 기업의 절반 이상(57%)이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으로 ‘홍보’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데이터 활용 방법에 대한 가이드 없이 데이터만 공개하는 방식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해봤다는 기업들조차 단순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쳤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공공기관의 데이터 공개·활용에 대한 기준 마련도 시급하단 지적이다. 부산지역 공공기관의 절반이 개인정보 보호 등을 이유로 보유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부산지역 공공기관의 데이터 생산·공개에 관한 관심 부족도 문제로 나타났다.
부산연구원에 따르면 부산지역 공공기관 54곳 가운데 41곳(76%)에서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지만, 대부분(75.5%) 연간 50종 미만에 그쳤다. 특히 공공에서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10종 미만으로 보유한 기관이 68%나 됐고, 민간에서 활용 가능한 데이터도 10종 미만인 기관이 69.8%나 됐다.
배수현 부산연구원 연구위원은 “공공기관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가 부족하며 그만큼 공공기관의 데이터 산업에 관한 관심이 낮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지적했다.
한편 부산시는 지난 5일 생활(상권, 안전) 밀착형 공공데이터 28만여 건을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공개하는 한편 경제, 도서, 생활, 문화, 관광 등 분야별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시정을 펼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