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가 월 550만원가량 드는 비용 부담을 이유로 다중이용시설 출입 등록 서비스인 ‘080 안심콜 서비스’ 지원을 중단했다. 자영업자들은 불만을 터뜨리고 있으며, 서비스 중단에 따라 코로나19 역학조사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1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시가 올해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안심콜 서비스 수요를 조사한 결과 서초구만 회신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서초구는 앞서 지역 자영업자들에게 ‘2021년 12월 31일부로 모든 번호가 종료되므로 인지하시기 바란다’며 지원 중단을 알리며 ‘개별적으로 안심콜을 신청하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서초구가 중단 이유로 든 건 비용 문제다. 서초구는 “서울시 예산 사용 완료로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부터 4개월간 자체 예산으로 운영하겠다고 한 구로구와 강남구를 제외하고 23개 자치구에 월 250만원씩 지원해왔다. 080 안심콜은 수신자 부담이라 손님이 전화를 걸면 1건당 5원의 비용을 자영업자가 납부해야 한다. 서초구 관계자는 “지난달에만 서비스 운영비로 약 800만원의 통신비가 발생해 250만원의 지원금을 제외하면 550만원을 우리 구에서 부담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서초구는 서울시에도 같은 금액을 알렸지만, 서울시가 통신사를 통해 확인한 서초구 안심콜 통신비는 지난해 11월 487만원, 12월 385만원으로 실제 부담 액수는 더 적었다.
하지만 서울시 자치구 중 세수 2위인 서초구가 500여만원의 비용을 이유로 중단한 것을 두고 서울시는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초구가 서울시와 협의 없이 결정해 공지한 상황이라 협조를 요청 중”이라며 “올해 지원금 예산은 증액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원 중단 안내 문자를 받은 자영업자들은 구청에 항의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비로 서비스를 신청한 카페 사장 김모씨는 “방역 조치로 자영업자 희생을 강요하는 이 시국에 비용을 초과한다는 이유로 이런 지원마저 끊겠다는 발상이 어이가 없다”고 토로했다.
개인이 회선을 개통하면 역학조사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기존에는 구청 명의로 회선이 개통돼 역학조사 목적의 방문자 확인을 구 보건소에서 곧바로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방역 당국이 사업자에게 협조를 받아야 하는 절차가 추가된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