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조달계약 63% 상반기 조기 집행한다

입력 2022-01-11 16:35
김정우 조달청장이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22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조달청 제공

조달청이 올해 조달계약의 63%를 상반기에 조기 집행하고 ‘공공조달 ESG’ 도입을 촉진하기로 했다.

김정우 조달청장은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22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완전한 경제회복과 미래를 준비하는 공공조달을 목표로 경제활력과 국민안전, 미래대응에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조달청은 먼저 올해 조달계약의 63%인 34조2000억원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하기로 했다.

상반기에 조달요청을 하는 공공기관에는 조달수수료를 최대 10%까지 할인하는 방안도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다.

또 한시적 계약특례를 적극 활용하는 한편 긴급공고·심사기간 단축 등을 통해 최대한 신속하게 조달사업을 집행한다.

공공조달을 통해 청년 창업을 촉진하고 일자리도 창출한다. 대학·지자체 창업센터와 협업해 혁신조달 및 벤처나라 참여를 유도하고, 해외조달 청년인력 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해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중소·벤처·창업기업의 판로 확대를 위해 벤처나라 판매를 지난해 1255억원보다 20% 늘어난 1500억원으로 확대한다.

지난해 품절대란이 일었던 요소수 부족사태와 같은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국민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대책도 마련된다.

수급불안물자의 해외도입 소요일수는 35일에서 10일로 대폭 단축하고 긴급소요자금 481억원을 활용해 신속 도입을 지원한다. 여기에 수입대체 국산의료기기의 쇼핑몰 등록을 확대하는 한편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과 방역물품·서비스를 최우선으로 공급한다.

공공시설물 계약·관리의 경우 적정 공사기간 보장 및 설계적정성 검토항목에 ‘안전분야’를 신설한다.

공공조달의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방안으로는 ‘(가칭)조달사업의 사회적 가치 평가 지침’을 마련, 공공조달 ESG를 도입하는 것이 꼽혔다.

내연기관 차량 공급을 축소하는 등 탄소중립·녹색조달 실천을 위한 공공조달 지원도 강화한다.

실물모형 및 IT·SW사업의 입찰평가에는 청렴옴부즈만 참여를 확대하고, 원산지 속임이 잦은 섬유·피복류 등에는 원산지 라벨 부착을 의무화한다.

이밖에 혁신제품 시범구매예산은 465억원으로, 조달청 혁신시제품 지정은 500개 이상(누계기준)으로 확대한다.

국민 기업 공공기관이 제안한 혁신아이디어는 전문가들의 인큐베이팅을 통해 구체화시켜 혁신제품 구매와 연계한다.

2024년 개통 목표로 재구축 중인 ‘차세대 나라장터’는 본격적인 설계와 개발을 통해 구체화하기로 했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클라우드 메타버스 등 디지털 신기술 기반의 혁신 서비스와 주요 기능도 구현한다.

2012년 시작된 ‘일본인 명의 귀속의심재산 국유화’도 올해 중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김 청장은 “완전한 경제회복과 미래를 준비하는 공공조달을 실현하기 위해 조달 수요자와 적극적으로 호흡하겠다”며 “시급한 현안부터 미래를 준비하는 일까지 호시우보(虎視牛步)의 자세로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