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의 사교육 시장 단속 여파로 중국 최대 학원 기업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 직원 6만명을 해고하는 등 사실상 퇴출 수준의 부진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대형 학원 기업인 신둥팡자오위커지그룹(이하 신둥팡)의 위민훙(59) 대표는 지난 8일 위챗을 통해 지난해 7월 중국 정부가 사교육 단속에 나선 이후 시가총액이 90% 증발하고 매출이 80% 급감했다고 밝혔다.
그는 반년 동안 전체 직원 11만명 중 절반 이상인 6만명을 해고했으며, 퇴직금과 학원비 환불, 학원교실 임차 문제 해결 등으로 약 200억 위안(3조7500억원)을 지출했다고 밝혔다. 위 대표는 “지난해 우리는 정책, 코로나19 팬데믹, 국제관계 등 많은 예상치 못한 사건들에 직면했다”며 “우리 사업의 대부분은 불확실한 상태로 남아있다”고 토로했다.
신둥팡이 하루아침에 몰락한 건 중국 당국의 ‘쌍감 조치’ 때문이다. 당국은 지난해 7월 유치원생부터 중학교 3학년 과정에서 ‘학과류’(체육, 문화예술, 과학기술을 제외한 다른 과목) 과목의 사교육을 전면 금지했다. 해당 연령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교육 서비스가 매출의 60%를 차지했던 신둥팡은 막대한 타격이 불가피했다.
설상가상으로 중국 당국은 기존 사교육 업체를 비영리기관으로 전환시켰다. 사교육 업계가 사실상 퇴출 수순을 밟게 된 것이다. 지난달 중국 교육부는 규제 5개월 만에 사교육 업체가 80% 이상 사라졌다고 밝혔다.
중국의 사교육 시장은 연간 1200억 달러(약 143조원) 규모로 추산되며 과열됐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신둥팡을 비롯해 TAL 등 3대 학원 기업은 한때 총 17만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었으며, 수백개 업체가 경쟁한 전체 사교육 시장에서는 수백만명이 종사하고 있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 때문에 사교육 시장은 최근 ‘공동부유(모든 인민이 잘 먹고 잘 사는 일종의 유토피아)’ 실현 등을 이유로 민간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 당국의 관리 대상이 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 사교육의 아이콘으로 2006년 회사를 뉴욕증시에 상장시켰던 위 대표는 눈물을 머금고 다른 분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신둥팡은 대학생과 해외 시장을 겨냥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최근엔 온라인 농산물 플랫폼을 오픈하는 등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