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로 건립되는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명칭 관련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100억원을 대전시에 기부한 ‘넥슨’이 병원 이름에서 빠질 전망이다.
대전시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넥슨 명칭 사용, 병원 운영 관여 등이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최근 넥슨재단에 전달하고 업무협약을 개정하는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앞서 대전시와 넥슨재단은 2019년 10월 병원 기부금 기탁과 관련해 세부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는 ‘대전충남넥슨어린이재활병원으로 병원명에 기업 명칭 사용’ ‘병원장 임명 시 대전시와 넥슨재단 협의’ ‘넥슨재단의 운영위원회 참여’ ‘20억원 이상 사업비 증감 시 시와 넥슨재단 간 협의’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이동한 시 보건복지국장은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장애어린이를 둔 부모님들의 오랜 숙원이자 당연히 해야 할 사업이었다”며 “넥슨재단의 100억원 후원은 지방재정부담과 병원 규모 확대 요청 해결이라는 긍정적 의미가 컸다”고 말했다.
시는 협약이 중간에 수정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세부 내용에 대한 비밀을 유지키로 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병원명에 ‘넥슨’이 들어간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병원의 공공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의회와 시민단체, 병원 명에 기업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보건복지부 의견 등을 받아들인 시는 결국 병원 명칭에 기업명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또 병원장 임명 등 인사 관련 내용도 불합리하다며 협약 내용에서 제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넥슨재단의 운영위원회 참여는 병원의 정상적인 운영, 기부자로서의 재정적 기여 등을 고려해 긍정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이 국장은 “‘20억원 이상 사업비 증감 시 협의’ 조항은 사업비가 증가할 경우 지방재정부담 경감 등을 위해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내용이었다”면서 “이것 역시 공공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보완할 예정”이라고 했다.
시는 넥슨재단과 업무협약 개정이 합의되지 않을 경우 기부금 반환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기부금을 반환한 뒤 부족분은 시비로 충당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국장은 “당시 건립비 확보가 여의치 않은 상태에서 좋은 취지로 협약을 체결했다. 그동안 병원 건립에 함께 해주신 시민단체, 의회 등에 소상히 말씀드리지 못한 점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전국 최초의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공공성이 결코 훼손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12월 말 개원 예정인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서구 관저동에 6342㎡ 규모로 조성된다. 지하2층 지상 5층이며 70병상 규모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