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검사장) 가족과 팬카페 회원 등의 통신자료를 조회한 사실이 알려지자 한 검사장은 “정상적인 수사 방식이 아니다”고 꼬집었다.
한 검사장은 9일 입장문을 내고 “수사 대상이 고위공직자로 엄격히 한정된 공수처가 동호회 활동을 하는 순수 민간인들을 무차별 통신 조회하는 것은 선량한 국민을 겁주고 불안하게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 검사장은 “정치권에서 근거 없이 뇌피셜로 정파적 의혹을 제기하면서 공수처 수사를 요구하고 어용 단체가 그대로 공수처에 고발하며 언플하면 공수처는 언론인이든 민간인이든 가리지 않고 탈탈 턴다”며 “그러고 나서도 아무것도 안 나오면 ‘아마추어라 그렇다’며 뭉개고 넘어가는 일들이 반복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누가, 어떤 이유로, 어떤 절차를 거쳐 이런 일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그러지 않으면 앞으로는 마음에 안 든다고 마구잡이로 털고 겁주는 게 정상적인 수사방식이자 뉴노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유시민 씨, 황희석 씨 등은 존재하지도 않는 계좌추적이 존재한다며 저의 명예를 훼손했지만 지금 공수처의 민간인, 언론인, 정치인 사찰은 분명히 존재한다”고 했다.
한편 공수처는 지난해 한 검사장과 그의 가족들의 통신자료를 조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한 검사장 지지자들이 모인 팬카페 ‘위드후니’ 일부 회원도 통신자료 조회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