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주택난을 획기적으로 덜어줄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최대 걸림돌인 토지수용 절차가 사업부지 10곳 중 8곳에서 사실상 마무리됐다.
광주시는 “지난달 일곡 중앙2 송암 수랑 공원 등 4곳에 대한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심의 신청을 마쳤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운암산 봉산 마륵 신용 공원 등 4곳은 토지수용 절차를 모두 끝냈다.
토지가 수용된 4곳의 공원 면적은 운암산이 28만4000㎡로 가장 많다. 이어 봉산 20만3000㎥, 마륵 18만2000㎡, 신용 5만9000㎡ 순이다.
이로써 민간공원 특례사업 대상 공원 10곳 중 8곳의 토지수용이 마침표를 찍었거나 막바지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 수년간 사업자 변경과 법정소송 등 우여곡절을 거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속도를 내는 셈이다.
시는 올해 상반기 중 특례공원 4곳의 심의 결과가 나오면 토지수용에 이은 공원별 생태숲 복원과 산책로·휴게공간 조성 등을 본격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이후 특례사업 대상 공원 10곳 모두 올해 비공원 시설인 아파트 등을 착공해 후분양 방식을 선택한 중앙1지구를 제외한 9곳이 분양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예상했다.
중앙1지구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컨소시엄 참여사 간의 주도권·이행보증서 논란 등에 이은 도급계약 가처분 소송 등 법정다툼이 끈질기게 이어지고 있다.
금명간 특례사업에 의한 첫 분양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62만㎡부지에 아파트 265세대를 짓는 신용공원의 경우 오는 2월 착공, 3월 분양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전체 10곳의 민간공원 특례사업 부지에 1만 2000여세대의 아파트가 신축돼 지역의 심각한 주택난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파트 분양대금으로 조성될 민간공원에는 시민들의 문화·여가 생활을 위한 그라운드 골프장과 캠핑장, 애견놀이터, 피크닉광장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함께 들어선다.
현재 중앙1공원을 제외한 9곳은 용도지역 변경을 위한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했다. 교통 경관 건축위원회 등 나머지 심의절차가 진행 중이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건설사가 일몰제 적용으로 도시계획 지정이 풀린 일부 면적을 사들여 공원을 조성한 뒤 지자체에 기부하고 비공원 시설인 아파트아 상가 등을 지어 해당 사업비를 충당하는 방식이다.
광주지역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지난 2017년 논의가 시작돼 오는 2024년까지 아파트 분양과 공원 조성공사를 마친다는 목표다. 1단계 사업은 수랑, 마륵, 송암, 봉산 공원, 2단계 사업은 중앙1, 중앙2, 일곡, 운암산, 중외, 신용 공원에서 각각 추진 중이다.
기존 10곳 공원 면적 총 788만 3000여㎡ 중 76만 1000여㎡가 아파트와 상가 등을 건립하는 특례사업 용지로 전환해 활용된다.
광주시 김석웅 환경생태국장은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모든 공원에서 올해 안에 착공식을 하게 될 것”이라며 “신용공원을 필두로 본격 분양도 잇따를 것으로 낙관한다"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