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만에 코로나 20여명 사망… 안동병원 조사해 달라”

입력 2022-01-09 12:44 수정 2022-01-09 13:24
안동병원 집단감염으로 사망한 유가족의 청와대 청원.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캡처

경북권역응급의료센터인 안동병원에서 코로나19 확진자 137명이 무더기로 발생하고 21명이 사망했다. 유가족은 청와대에 국민청원을 올려 해당 병원의 초기 방역대응 부실 의혹을 제기하고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지난 6일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경북 안동병원과 안동시 방역 당국을 조사해 달라’는 글이 올라왔다. 이 청원은 9일 오전 11시10분 기준 2294명이 동의했다.

안동병원발 사망자 중 한 명의 아들이라고 밝힌 청원인은 “어머니를 갑작스럽게 보내드린 것이 너무 안타깝고 원통한 마음”이라며 “병동 내 코로나 감염만 아니었어도 어머니는 여전히 저희 옆에 살아 계셨을 것”이라고 호소했다.

청원인의 어머니 A씨는 경미한 뇌경색 증세로 지난해 12월 9일 안동병원을 찾았다. 당시 A씨는 치료 당일 바로 회복했으나 병원 측 권유로 11층 병동에 입원했다. 이 병원은 경북 북부지역 권역거점의료기관이다.

입원 이틀 뒤인 12월 11일 해당 병원 11층 병동에서 종사자 1명을 시작으로 코로나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A씨는 앞서 화이자 백신 2차 접종을 완료했지만 같은 달 14일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고, 8일 후인 22일 숨졌다.

청원인은 “어머니는 기저질환이 있었지만 지난 5년 동안 잘 관리해 오고 있었고 인근 도시인 경북 영주에서 혼자 고속버스를 타고 안동병원을 오가며 시장을 보고 음식을 하고 가끔 친구도 만나는 등 일상생활을 하는 상태였다”고 A씨의 생전 건강상태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병원 종사자로부터 감염이 시작됐는데도 이를 환자와 보호자에게 알리지 않아 확진자와 비확진자가 같은 병동에서 함께 주말을 보냈다”며 “12월 13일에야 부랴부랴 코호트(동일집단) 격리에 나서고 환자와 종사자에 대한 전수검사를 실시했다”고 병원 측의 대응을 지적했다.

청원인은 “확진자가 쏟아지는데도 11층 환자들을 개별적으로 격리도 없이 11층으로 들어가는 입구만 봉쇄한 상태였다”면서 “22일이 돼서야 7층에 음압병실 50여개를 구축하는 등 뒤늦게 대응에 나섰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병원도 아닌 권역거점의료기관에서 어떻게 이렇게 많은 사망자와 높은 치명률이 나올 수 있는지 이해되지 않는다”며 안동시와 안동병원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감사를 요구했다.

안동시 등에 따르면 안동병원에서는 지난달 11일 10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8일까지 모두 127명의 확진자가 잇따라 발생했다.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해당 병원 연관 확진자까지 포함하면 안동병원발 확진자는 모두 137명이다. 이들 중 21명이 사망했다.

병원 측은 최초 확진자가 나온 11층 병동을 폐쇄조치했다고 밝혔지만 이후 5층, 7층, 3층, 정신과 격리병동 등 병원 전체에서 의사, 간호사, 간병사, 간호실습생, 방사선사, 미화원 등 감염자가 무차별적으로 쏟아졌다.

해당 병원은 최초 확진자 발생 18일 만인 지난달 28일 확진자가 100여명을 넘어서자 재단 대표이사 명의로 ‘송구스럽다’는 내용을 담은 성명을 병원 홈페이지에 게시했다.

이예솔 인턴기자